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새치도 노화의 일종으로 봐야 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5

사람은 나이가 먹어가면서 흰머리가 나는데요. 요즘에는 젊은 사람들도 새치가 있는데요. 제친구는 고등학교때부터 세치가 많이 났었어요. 새치도 노화의 일종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새치는 노화의 일부일 수 있으나 반드시 노화만의 결과는 아닙니다. 발생 시기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데 가족 중 새치가 일찍 난 사람이 있다면 본인도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치는 모발 색을 만드는 멜라닌 색소가 줄어들어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으로 멜라닌 세포의 조기 손실은 스트레스나 영양 부족,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멜라닌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새치 발생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 철분, 구리 등의 결핍도 새치 발생에 연관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새치는 모낭 부위의 색소세포가 죽게 되면 모발에 색소를 공급해주지 못하여 하얗게 자라나는 것입니다. 무조건 노화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노화는 새치(힌머리)를 유발하는 흔한 원인이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새치는 스트레스, 유전, 영양 결핍 등 여러 원인으로 생길 수 있으며, 생리도 조기노화 현상으로 볼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새치가 나는 것은 일반적인 노화현상과는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여러 호르몬 분비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면 머리카락을 까맣게 만드는 멜라닌 색소분비의 저하로 새치가 생길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리한 다이어트나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영양 공급이 모발에 제대로 되지 않아 새치가 날 수 있습니다.

    물론 유전적으로 멜라닌 색소 분비가 잘 안되는 경우에도 새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로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