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전기가 10 키로미터를 갈 때 손실되는 양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가 쓰는 전기 같은 경우도 전선을 타고 가지만 가는 도중에 어느 정도 손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전기가 10km를 갈 때 어느 정도 손실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선으로 전기가 이동할 때 저항에 의해 전력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주로 줄 열 손실로 나타나고, 전력 손실은 P=I²R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I는 전류, R은 전선의 저항입니다. 저항은 전선의 길이와 종류에 따라 다르며, 길이가 길수록 손실이 증가합니다. 전선의 저항은 R=ρ(L/A)로 계산되고, L은 전선의 길이, A는 단면적, ρ는 저항률입니다. 손실량은 전류, 전압, 전선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에 정확한 손실은 특정 상황의 상세 수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고압선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전선을 통해 이동할 때 항상 손실이 발생합니다. 전기 손실은 주로 저항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전선의 재질, 두께, 길이, 전류 크기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인 구리 전선의 경우, 약 10km의 거리를 이동할 때 대략 3~5% 정도의 전력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수치는 전선의 두께, 전류량, 전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전압을 올려 전류를 줄이는 방식(고압 송전)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런 계산을 더 정확히 원한다면 사용된 전선의 자료나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체적인 정보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전압 강하는 송전선을 따라 송전할때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손실된 전압으로 인해 없어진 에너지 손실은 전력 손실이라고 합니다. 전기가 손실되는 것을 계산하기 위해 저항값이 필요하며 전압도 알아야 합니다.

    이 저항은 외부적인 요인 온도 등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바뀔 수 있으며 전선의 굵기나 재료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10km 전송할 때 손실되는 양은 어느 전선을 사용하느냐 저항값, 전류량, 전압 등에 따라 다라 질 수 있습니다. 저압 송전을 할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전송되는 전력의 5~10% 정도의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고 하며, 고압의 경우는 이러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전선을 통해 이동할 때 저항으로 인해 일정량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전력 손실이라고 하며, 주로 열로 방출됩니다. 전력 손실의 크기는 전선의 길이, 전류의 세기, 전압, 그리고 전선의 재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전력이 10km를 이동할 때 손실률은 수백 미터마다 약 1-2%로 추정되며, 고전압 송전을 통해 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높은 전압을 사용하면 전류가 줄어들어 저항에 의한 열 손실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송전 효율을 높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10킬로미터를 전송할 때, 손실되는 양은 주로 전선의 저항과 전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전력 손실(P)은 P=I제곱2R로 계산되며, I는 전류 R은 전선의 저항입니다.

    따라서 전선의 굵기, 재질, 전압 등에 따라 손실량이 달라지며, 높은 전압에서 전송할수록 손실이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