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왜 해가 짧아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제 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느데요~ 그래서 그런지 낮에 해떠있는 시간도 줄어드는거 같습니다. 여름에는 7시까지 밝았던거 같은데 요즘 6시만 되도 어둑어둑 합니다. 겨울은 왜 해가 짧아지는 걸까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른 낮 길이 변화도 이유 중 하나인데,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 길이는 길고, 낮을수록 낮 길이는 짧습니다. -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에는 더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해 낮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반해 겨울에는 가장 짧 은원 길이를 그려 그만큼 낮 길이가 짧습니다. - 따라서 우리는 낮의 길이를 태양이 보이지 않는 시각에서 태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을 뺀 간단한 계산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 겨울이 되면 해가 짧아지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궤도면과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에 더 가까워져 낮의 길이가 길어지고, 겨울에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에서 멀어져 낮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겨울에 해가 짧아지는 이유는 지구의 기울기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공전하는 동안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광선이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는 각도가 변합니다. 이러한 기울기 변화로 인해 겨울에는 해가 더 낮게 떠오르고 높게 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지구의 자전축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이 기울기로 인해 한 해 동안 태양의 위치가 변합니다. 겨울철에는 특히 북반구에서는 남쪽으로 기울어져 태양이 높이 떠오르는 각도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해가 떠오르는 위치가 낮아지고,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이 짧아집니다. 그 결과로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것이죠. - 이와 반대로 여름에는 북반구에서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게 되어 태양이 높이 떠오르는 각도가 크게 됩니다. 따라서 해가 높이 떠오르는 위치가 높아지고,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태양이 짧게 뜨고 지는 것은 탸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낮 길이 변화를 가져옵니다.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 길이는 길고, 낮을수록 낮 길이는 짧습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에는 더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해 낮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겨울에는 가장 짧은 원 길이를 그려 그만 큼 낮 길이가 짧죠. 따라서 우리는 낮의 길이를 태양이 보이지 않는 시각에서 태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을 뺀 간단한계산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기상청 블로그 - 겨울의 '낮'이 짧은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