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등이 세포의 세포막을 뚫어서 흡수하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등의 소화 흡수율도 떨어지는게 문제이지만 세포막을 뚫어서 흡수하기도 힘든 환경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세포막을 뚫어서 흡수하기 힘든이유가 무엇인지 생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 등의 성분은 소화 흡수율이 떨어지는 것 외에도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운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흡수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세포막은 세포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막으로 물질이 세포 내부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포막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포막은 지방성 물질인 인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물과 같은 극성 물질과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려는 물질이 극성이 높거나 크기가 큰 경우 세포막 내부로 흡수되기 어렵습니다.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 등의 성분 역시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포 내부로 흡수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리고 세포막은 물질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세포막 내부에는 수막 단백질이 존재하며 이들은 물질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려는 물질이 수막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면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이처럼 세포막은 물질의 흐름을 조절하고 세포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 등의 성분이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러한 생물학적인 이유 때문에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운 성분들은 소화 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막은 지방으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입니다. 이 지방 이중층은 수직으로 배열된 인지질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수지 상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수지성인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과 같은 분자들은 세포막의 수지성 층을 통과하기 어려워합니다.세포막은 셀러러 및 프로테인 채널, 수송체 등과 같은 특정 단백질을 통해 선택적으로 물질을 통과시킵니다. 큰 분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채널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과 같이 크고 대형인 분자들은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겐과 글루타치온은

      모두 분자량이 큰 물질입니다.


      콜라겐의 분자량은


      약 30만~300만 달톤이며

      글루타치온의 분자량은

      약 307 달톤입니다.

      분자량이 큰 물질은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세포막은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헤드와


      소수성 꼬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친수성 헤드는 물과 잘 결합하고


      소수성 꼬리는 물과 잘 결합하지 않습니다.


      콜라겐과 글루타치온은 모두 친수성 물질입니다.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꼬리와 결합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은 분자량이 크고 친수성으로 인해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세포막은 지방질로 이루어진 이중층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중층 구조는 친수성인 세포막 바깥쪽과 친유성인 세포막 안쪽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친수성인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은 세포막의 친유성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막은 지방으로 이루어진 이중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방은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용성이 높은 물질이나 대부분의 단백질은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막 통과가 어려운 이유는 그 크기와 구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아래에 제공하겠습니다.

      세포막은 세포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며, 다양한 물질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포막은 주로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지질 이중층은 물질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없게 막는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처럼 큰 분자는 이 지질 이중층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큰 분자들은 주로 세포의 특수한 통로인 단백질 통로를 이용해서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백질 통로는 특정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므로,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과 같은 큰 분자들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이러한 큰 분자들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흡수되기 어렵습니다. 소화 과정에서 이들은 더 작은 단위로 분해되며, 이 분해된 형태로만 세포 내부로 흡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콜라겐이나 글루타치온과 같은 큰 분자의 세포막 통과 및 흡수는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이들을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흡수율을 높이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특정 제품에서는 효소 처리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