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임의계속보험료가 지역보험료보다 크면 신청하지 않아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얼마전 퇴직하고 잠깐 쉬고 있는데요
알아보니 보험료가 오를수도 있으니 임의계속가입제도를 이용하라는 글을 인터넷에서 본 후
신청을 하려고 하니, 건강보험사이트에서 임의계속보험료와 지역보험료 비교를 해주더군요
대략 8만원 정도 임의계속보험료가 더 큽니다.
이럴 경우 보험료로 따지면 지역보험료를 그냥 내는게 나은 것 같은데, 이 경우 불이익이나 그런 건 없나요?
처음 경험해보는 거라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직장건보료로 임의가입시 보험료가 지역가입시 건보료 보다 더 높다면,
할 이유가 없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이럴 경우 보험료로 따지면 지역보험료를 그냥 내는게 나은 것 같은데, 이 경우 불이익이나 그런 건 없나요?
지역보험료와 임의계속 보험료를 비교하여 가입하심이 좋고 질문자와 같이 지역보험료가 유리한 경우 지역보험료로 한다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은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불이익 따로 없습니다. 지역보험료는 재산과 자동차 소득 등에 따라 계산이 되어 지기에 지역보험료가 더 저렴하면 지역보험료로 내시면 됩니다.
어짜피 나중에 취업하면 다시 직장 가입자로 전환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임의제도는 기존에 직장가입자가 납부하시던 것을 유지 시겨 주는 것입니다.
즉, 일정 기간만 가입을 하실 수 있는 보험입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직장 또는
지역으로 가입을 하셔야 하는 것이기에 지역이 좀 더 저렴하면 그 것으로 전환하시면 됩니다.
임의는 꼭 하실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아하 커뮤니티 지식 파트너사 시그널플래너입니다.
임의 계속보험료는 퇴직 후 최초로 지역가입자 보험료를 고지받은 납부기한 2개월이 지나기전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다만, 임의 계속보험료와 지역보험료 비교시 지역보험료가 좀더 저렴하다면
임의 계속보험료를 신청 안하시면 됩니다.
혹시나 신청하셨다면 공단에 탈퇴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좀더 자세한 문의는 가까운 건보 지사에 방문하시거나 전화 연락하셔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업전화가 없는 채팅 보험상담 앱, 시그널플래너에서 답변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