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위드코로나 해도 괜찮은 걸까요?

위드코로나를 한다고하는데 백신접종도 하지 않은 어린자녀를 둔 입장에서 불안하네요

말이 위드코로나지 아무런 대책도 없이 하는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0월말 11월초 정부가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가 장기화 되면서 어쩔수 없는 조치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독감이나 감기가 매년 기승을 부리듯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개인 방역으로 최대한 감염되는 빈도를 줄이고, 백신을 맞아서 독감처럼 걸리더라도 치명률을 떨어뜨리는 방법이 가장 현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을 많은 사람이 하면 할수록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에게까지의 감염이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를 집단면역이라 하는데,

      이는 감염이라는 것이 결국 매개체가 필요한 것인데, 백신 접종한 사람들에게는 감염이 쉬이 일어나지 않으나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게 되어 결국 바이러스가 어딘가로 퍼지지 못하여 전파가 안되기 때문에 쉽게 전염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무런 이유없이 위드코로나를 하는 것은 아니며 2차 접종률 70%까지 오르면서 집단면역이 적절히 생긴 것으로 보고 진행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어느정도 거리두기 완화나 위드코로나를 하려면 확진자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2. 현재 확진자 수로는 마스크 벗기는 불가능 하며, 향후 전국민백신 접종이 완료되었을 때 어느정도 마스크를 벗고 거리두기가 완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소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3. 사실상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가 매우 쉽고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최소 1-2년 간은 완전 종식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4. 위드코로나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적인 문제때문에 성급하게 실시하는 것 같은데, 방역차원으로 봐선 아직 멀었습니다. 확진자가 아직 너무 많고, 백신 접종률이 90%가 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항체가 생기는데 2주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꼭 2주가 아니어도 그 전에 생성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보통은 접종한 날부터 2주를 계산하시면 됩니다. 현재 돌파감염이 많아서 2차까지 완료했다고 해도 안심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변이 바이러스가 아니라면 확률이 높겠지만 현재 델타변이가 퍼진 상황에서 감염 확률은 알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접종하고 2주가 지나셨어도 마스크를 꼭 쓰고 다니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에는 약 2주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QR 코드 인증 같은 걸 하면 접종 후 2주가 지났다는 안내가 뜨기도 하죠. 현재로서는 영구적인 면역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며 선진국에서는 부스터샷(추가접종)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위드 코로나 시대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독감처럼 매년 접종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까지 위드코로나 방침에 의해서

      정확히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정부는 10월 내에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을 논의하고

      방침에 대해서 안내할 예정이니 그 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70% 이상 맞으면 위드코로나를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변이바이러스로 인해 사실상 90% 이상 맞아야 안전한 것은 사실입니다.

      경제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이 많기에 시행한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1월 9일부터 위드코로나를 시작해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국민의 70%가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은 10월 마지막주, 항체형성 기간을 고려하면 2주 뒤인 11월 둘째주쯤엔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체계를 적용해 볼 수도 있다는 설명으로 해석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안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나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규제가 대폭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확진자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전국민 백신접종률이 80%가 넘은 싱가포르는 위드코로나 진행 후 확진자수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이 가능하려면 추가적인 병상확보가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하지 않고 재택치료도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70세 미만 무증상·경증 확진자이고 입원요인이 없는, 타인과 차단이 가능한 주거환경의 확진자라면 재택 치료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백신 접종률로는 다음달정도에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전국민 백신 접종이 완료되고 확진자 수가 확실하게 줄었을 때로 예상됩니다.2차접종완료자수가 80%정도는 되어야 위드코로나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의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2차의 접종이 모두 끝나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영국 및 싱가폴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2차 접종 완료 70%를 기준으로 정책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한국도 2차접종완료기준 70%정도 생각되는데,

      2차접종 70%가 되려면11월중은 되야할것같습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어도 고위험군에 대한 2차 접종이 80%는 이뤄져야 '위드 코로나'가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10월말이나 11월초에 2차접종이 80%이루어질것으로 보아 11월중으로 위드코로나가 시작될것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관리청에서 이르면 11월 9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을 시작할 수도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집단면역을 위한 코로나19 예방백신의 전국민 접종률이 곧 70%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중이며 항체형성기간 2주를 고려하여 11월 9일쯤 기대할 수 있다고 한것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11월 둘째 주 단계적 일상 회복의 시동을 걸기 위한 병상 확보, 백신패스 도입, 경구용 치료제 구매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4차 유행이 지금보다 악화되는 경우 확진자 수가 현재보다 더 늘어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지 11월 9일부터 위드코로나를 진행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확진자발생 추이를 보며 정부발표를 기다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더이상 방역이나 사회적거리 두기를 시행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습니다. 즉 코로나로 인하여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막심 하므로 이를 계속적으로 방관하거나 활동에 제약을 두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어 치사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그리고 중증 환자로의 전환 비율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것이 위드 코로나 입니다. 도입이 되더라도 마스크 사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마 거리두기 제한부터 점차적으로 완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서 마스크 착용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짐에 따라 모임도 허용범위가 늘어날것 같습니다.

      확진자는 집에서 자가치료를 할테고, 격리같은건 안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로서는 위드코로나에 대한 계획을 정확히는 알 수 없습니다. 언제 시행할지 그리고 시행하더라도 어느정도 방역 및 사회적거리 두기를 할지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위드코로나를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싱가포르의 경우 처럼 위드코로나로 전환 이후 확진자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 얼마동안 지속되는지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효과는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부스터샷에 관해 정부에서 입장을 발표할것같아요. 현재 접종률도 계속 높아지고있고 백신의 효과가 일단은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접종률이 올라갈수록 위드 코로나로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