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파란하늘과 흰구름이 생기는 과학적 현상이 궁금합니다.

어릴적부터 하늘을 보면 왜 파란색 하늘과 흰구름이 만들어져서 우리 눈에 보이는지 궁금했거든요. 어떤 과학적 현상으로 그렇게 보이는건가요?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파란색과 흰구름의 현상은 빛의 산란(scattering)과 관련이 있습니다. 빛은 다양한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빛은 공기 분자나 미립자와 상호작용할 때 특정한 방향으로 흩어집니다.

      하늘은 대기로 이루어져 있고, 공기 분자들이 빛을 산란시킵니다. 이때, 빛의 파장에 따라 산란이 다르게 일어나는데, 파란색 빛의 파장은 더 짧기 때문에 더 강하게 산란됩니다. 그 결과, 하늘의 다른 색상들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산란되고, 파란색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여 파란색 하늘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흰구름은 물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이 구름 내부에서 산란됩니다. 물은 파장에 상관없이 빛을 고르게 산란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흰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흰구름은 빛을 고르게 산란시키기 때문에 우리 눈에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빛의 산란 현상으로 인해 파란색 하늘과 흰구름이 보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하늘의 색상과 구름의 색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몰이나 일출 시간에는 하늘이 주로 빨갛게 보이는데, 이는 빛의 경로가 대기를 통과할 때 더 많은 산란을 겪어 긴 파장의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색하늘은 태양빛이 두꺼운 지구대기를 통과하며 산란되고 남은 푸른빛이 보이는것이고,

      흰 구름은 물이 증발하여 하늘로 올라간 수증기가 차가운공기와 만나 액화되며 만들어 집니다. 이는, 커피포트에서 물을 끓이면 흰색 수증기가 만들어지는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상승과 단열 팽창으로 만들어집니다.

      지표면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하고 기온은 떨어지며 이슬점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죠.

      이후 구름이 기류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고 공기의 흐름에 따라 흐르거나 뭉치며 모양이 정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구름의 색상은 구름의 두께와 관련됩니다.

      구름이 두껍다면 구름을 통과하는 빛이 구름에 많이 흡수되어 어두운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하늘의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공기중에 빛이 산란되면서 파란색이 더 많이되어 우리눈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구름이 흰 이유는 수증기가 모이면서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수증기가 더 많이 함유되면 빛을 흡수해 검은 먹구름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 하늘과 흰 구름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광학적 현상입니다.

      우선, 파란 하늘의 경우에는 태양에서 발생한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대기 분자와 부딪히면서 산란되어 파란색 빛이 더욱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이와 반대로 빨간색 빛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덜 산란되고, 따라서 일몰이나 일출 시에는 빨간색 빛이 더욱 많이 보이게 됩니다.

      또한, 흰 구름은 수증기가 대기 중에서 응축되어 생성됩니다. 이러한 구름은 매우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빛이 구름 안으로 들어가면서 산란되어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 하늘의 원리는 산란(Scattering)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기반합니다. 대기 중에는 분자, 미립자, 먼지 등의 입자들이 있으며, 햇빛은 이 입자들과 상호작용합니다. 햇빛은 여러 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파란색 빛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기 중의 입자들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을 산란시켜 다방향으로 퍼뜨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산란 현상 때문에 파란색 빛이 우리가 보는 하늘에 더 많이 보이게 됩니다.

      흰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대기에는 수증기가 존재하는데,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응결됩니다. 응결되는 수증기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화하여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구름은 햇빛을 받으면 백색으로 보이는데, 이는 햇빛이 구름의 입자들에 반사되어 모든 색상을 혼합한 흰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선 하늘이 파란 이유는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파란 빛은 다른 색상 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이 산란 현상을 일으키고 이러한 산란으로 인하여 하늘은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의 물방울이 태양 빛을 모든 방향으로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이 반사된 빛은 원래의 흰색 태양 빛과 같으므로, 구름은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만약 구름이 두꺼워지면, 빛이 구름의 하단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상단에서만 반사되므로, 구름은 회색 또는 검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빛은 여러 가지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파란색 빛은 다른 파장의 빛보다 더 많이 산란됩니다. 산란이란 빛이 어떤 물체에 부딪히면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하늘의 공기는 매우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파란색 빛은 이 입자들에 더 많이 부딪혀 산란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늘을 볼 때 파란색 빛을 더 많이 보게 됩니다.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방울은 공기보다 훨씬 크므로 파란색 빛뿐만 아니라 다른 파장의 빛도 많이 산란시킵니다. 그래서 우리는 구름을 볼 때 흰색으로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여태까지 연구된 실적과 학문에 따르면,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빛은 파장별로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태양빛이 대기 중의 분자나 미세한 입자에 부딪히면 파장별로 굴절되어 흩어지게 됩니다. 파란색 빛의 파장이 가장 짧기 때문에 가장 많이 흩어지게 되고, 그 결과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이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은 빛을 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구름을 통과한 빛은 거의 그대로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 결과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