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이나 암호화폐가 엄청나게 올랐다고하던데요. 조정이 올거라는 이야기가 많더라구요. 보통 조정이면 가격이 떨어진다던데요. 조정을 받으면 보통 몇퍼센트정도 떨어지나요?
미국주식이나 암호화폐가 엄청나게 올랐다고하던데요. 조정이 올거라는 이야기가 많더라구요. 보통 조정이면 가격이 떨어진다던데요. 조정을 받으면 보통 몇퍼센트정도 떨어지나요. 모든지 상승만 있지않다고하더라구요. 조정은 당연하다구요. 그럼 조정시에는 보통 몇퍼센트정도가 하락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조정이라고 하면 평균적으로 주식의 경우 10%~15% 내외로 하락하고 가상화폐의 경우 약 15%~30%이상까지도 하락 합니다.
조정장에서 가상화폐가 변동성이 더 큰 편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아무도 모릅니다. 보통 조정이 오게 되면 주가의 하락을 예쌍할 수 있는데, 이것이 큰 호재가 있거나, 사람들의 충성투자자들이 많을 경우 매도를 하지 않기 떄문에, 조정의 힘이 강하지 않습니다. 이럴떄에는 주가의 하락이 약 33%, 50%, 66% 정도에서 되돌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되돌림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이는 상승 추세가 점차적으로 약해지고 하락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조정이 오면 보통 최근 고점 대비 10~20% 정도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시장 대비 높은 변동성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이나 위험자산이 가격 상승 후 기간조정을 가지는 경우는 많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하락하고 어느정도 기간을 가지고 조정을 받는지는 당연히 누구도 알수 없습니다
하루가 될지 한달이 될지 그리고 몇프로가 하락할지 알수 없어서 위험자산 투자가 어려운거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격 조정의 폭과 크기는 예측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오른 가격만큼 원위치될 수도 있고 오른 폭의 반 또는 그 이하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승 장에서는 오른 가격의 20% 내외 정도 조정을 받고 일정 부분 손바뀜 이후 다시 상승하곤 합니다. 다만, 코인 시장의 경우 변동성이 워낙 크기 때문에 예측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어느 정도 상승세를 이어나갔냐에 따라서 조정 시기에 하락하는 %가 다른데요. 평균을 말씀드리기 굉장히 애매하지만, 주식은 약 5~10%이고 코인은 10~15%까지도 조정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정을 받는다고 몇퍼센트가
떨어진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보통 10% 정도 내외로 떨어지거나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정의 폭은 전문가도 알수없습니다. 다만 가격조정과 기간조정이라는게 있습니다. 보통 크게 급등하게 되면 예를들어 하루이틀만에 5~10%이상씩 연속적으로 급등을 하면 가격조정도 이의 절반정도수준에서 가격 조정폭이 존재합니다 다만 이 폭은 수급적으로 영향을 받는거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모델링은 불가능합니다 이게 정확한다면 누구나 이를 활용해서 돈을 벌었을것입니다.
그 이후 추세르 이탈할정도로 단기간에 20일선을 하회하면서 가격조정을 강하게 하락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이후 해당 가격대에서 옆으로 횡보하는 기간조정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기간조정이 이어져야만 어느정도 수급의 손바뀜이 되면서 기존 이익자들의 매물이 소화되면서 새로운 수급이 들어오면서 가격이 다시 상승랠리를 펼칠 여건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조정이 오면 보통 몇 퍼센트 정도 떨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정 역시 정해진 숫자는 없습니다.
주가나 코인의 가격이 상승하다 저항선을 뚫지 못하고 머물다가
내려가면 조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인데
대략 3-5퍼센트 정도 빠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