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2.08.02

염소는 왜 악마를 상징하게 되었나요?

영화에서 염소가 악마로 표현되고, 만화에서도 염소가 악마로 표현됩니다.

염소와 악마가 무슨 관계가 있다고 악마로 표현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마트한고슴도치132입니다.

    염소가 악마로 표현되는 것은 기독교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경에 선한 사람은 양으로 표현되고, 악한 사람은 염소로 표현하였습니다.

    중세시대의 예술가들은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많은 예술작품에서 염소를 악마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래서 악마의 상징은 염소가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냉정한박각시52입니다.

    기독교에선 다양한 악마가 있는데, 기독교 경전인 성경에서 악마들이 등장하는게 아닌 다른 종교의 신이나 이교도들의 지도자를 악마로 표현한 경우가 많고, 발음도 원래 발음에서 많이 뒤틀렸는지라 정확한 기원이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악마중 '바포메트' 라는 악마가 있는데 이 악마가 염소의 머리를 하고있다고 합니다.

    여기엔 여러가지 추측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설은 이슬람교의 지도자 '마호메트'의 이름이 잘못 전해졌다는 주장이죠.


    양의 경우엔 악마로 취급되지 않는데, 양은 성경에서 순하고 온순한 짐승으로 묘사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맹고우입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염소는 대관령 목장에서 한가롭게 풀을 뜯는, 심지어 "아기염소" 라는 동요에서도 굉장히 친근하고 순박한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염소, 특히 검정색 염소는 악마를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이 되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예로 2015년 미국에서 개봉한 "The Witchs"라는 영화에서 악마로 등장하는 "Black Phillips"는 염소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영화에서 묘사하는 악마와 그 모습을 한 염소는 오래된 전통에 따른 클리셰 정도이지만, 실제로 흑염소에 대한 인식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십자군 전쟁이 공식적으로 막을 내림에 따라 전쟁으로 부와 명예를 쌓은 "성전 기사단"은 전후 국가별, 그리고 교회의 권력 권위를 세우는데 굉장한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카톨릭 교회와 정치 권력자들은 정치적인 이유로 템플 기사단으로 알려진 이 기사단을 숙청하고 축출하게 되는데, 이때 이들을 잡아드리기 위한 올가미가 바로 "바포메트" 입니다.


    "바포메트"는 "마호메트"라는 이슬람 메시아의 변형된 어원으로, 처음에는 이단이라는 개념으로 한정 되었지만 카톨릭 교회가 성전 기사단이 "바포메트"를 숭배한다는 혐의를 씌웠을 당시 "바포메트"는 이단 뿐만 아니라 반기독교사상, 악마주의자, 흑마법을 모두 포함하는 확대된 개념으로 해석되었습니다.


    ​"바포메트"는 원래 실체가 없는 개념이였지만 1851년 프랑스의 오컬리스트이자 마술사인 레비가 처음 바포메트의 모습을 스캐치로 남기기 시작하면서 염소와 이미지를 결부시키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레비는 위의 그림을 그리면서 중세시대 템플 기사단이 숭배하던 악마가 위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몸은 사람의 형상을, 머리는 염소 모양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레비는 이 염소 머리가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하던 염소 모양의 신 "Banebdjedet"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자신이 만들어낸 바포메트의 이미지가 불안과 공포, 파괴를 상징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런 레비의 주장은 꽤나 흥미롭기도 하면서 당시 많은 사람들을 설득했는데, 1966년 또다른 오컬리스트인 "Anton lavey"가 자신의 저서인 "Church of satan"에서 적그리스도를 묘사하는데 이 바포메트의 이미지를 차용하기도 했습니다.



    아니된 굴뚝에서 연기가 날까?


    염소와 악마의 연계성을 설명하는 또다른 논리적인 근거는 염소 자체가 본디 성경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묘사되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마태복음 25장 부분 발췌​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구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구분하는 것 같이 하여 양은 그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에 두리"


    ​(중략)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원한 불에 들어가라"​


    이처럼 염소와 악마를 연관지음에 있어 근본적으로 염소에 대한 기독교의 인식이 이기적이고, 탐욕스럽고, 차가운 존재이기 때문에 후에 구설수에 올라오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의견입니다.



    [출처] 서양에서 염소는 왜 악마로 묘사될까?https://blog.naver.com/kokissmaro/222812464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