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의로운반달곰277
의로운반달곰277

제주도에는 물에 뜨는 바위가 있다. 진짜인가요?

제주도에는 무거운 바위인데 물에 뜨는 바위가 있다던데요.

사실인가요?

맞다면 어떤 원리로 물에 뜨는 거죠?

사람이 들기도 힘든 큰 바위라던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제주도에서 물에 뜨는 바위가 있으며 이 바위는 현무암이라는 화산암의 일종이며 이를 우리는 부석이라고 합니다~ 부석은 현무암이 분출될 때, 화산에서 나온 용암이 급격히 냉각되면서 형성된 암석으로서 용암 속에 있던 가스가 빠져나가면서 내부에 많은 구멍(기공)이 생기게 됩니다. 이 기공들은 매우 가볍고, 부석의 밀도를 크게 낮추게 하지요~ 부석의 밀도는 일반적인 현무암보다 훨씬 낮습니다. 밀도가 낮아지면, 물보다 가벼워져 물에 뜨게 됩니다. 부석은 실제로 물에 뜰 수 있는 몇 안 되는 암석 중 하나입니다. 제주도는 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섬이기에, 부석이 많이 존재하며 크기에 따라 물에 뜰 수 있으며, 크고 무거워 보이지만 여전히 밀도가 낮아 물에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석은 외관상 크고 무거워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큰 바위라고 해도 물에 뜰 수 있습니다. 사람이 들기 힘들 정도로 큰 바위일지라도, 내부에 기공이 많고 밀도가 낮다면 물에 뜰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