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일본 하야부사 탐사선이 어느 소행성을 왜 탐사했나?

일본도

미국 못지않게

우주항공 탐사 분야에 기술이 대단한 것으로 압니다.

일본에서 발사한 탐사선 하야부사는 2003년 5월에 발사되어 2005년 11월 즈음

지구와 화성사이를 도는 소행성에 도착한 것으로 아는데요.

탐사목적이 샘플 채취 후 지구로 귀환하는 것이었다 압니다

유명한 베누 소행성은 아닌 것으로 아는데

그럼 어떤 소행성에 착륙하여 샘플을 채취한 건가요?

어떤 방법으로 채취한 건지.. 나사랑 다른 방법이었나요?

그리고

소행성 시료 채취의 진짜 숨겨진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본이 발사한 하야부사 탐사선은 소행성 이토카와를 탐사하고 시료를 채취한 후 지구로 귀환한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으로 2005년 11월 착륙하여 2010년 6월에 귀환하였습니다. 소행성은 지구와 화성 사이의 소행성을 탐사하였지요! 이곳은 근지구 소행성으로 지구와 가장 가까운 소행성중하나여 비교적 탐사가 쉬웠으며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이 위험한 충돌 가능성을 가진다면이를 연구해 충돌 위험을 평가하고 대처하는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줄수 있겠찌요! 이토카와는 태양계 초기 물질을 보유한 소행성으로서 태양계 형성 초기의 단서를 제공할수 있는 대상이며 지구의 물과 생명의 기원이 소행성에서 유래했는지를 밝히는ㄷ ㅏㄴ서를 찾는 중요한 목표를 가지고 시작하였습니다! 하야부사는 소행성 표면을 직접 착륙한 후 탄환을 발사하여 먼지와 작은 입자들을 튀어 오르게 한 뒤 이를 채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오시리스-렉스는 질소 가스를 분사하여 시료를 공중에 떠오르게 한 후 샘플 채집 장치로 흡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소행성 시료를 채취하는 진짜 목적은 태양계 형성 초기를 연구하는것인데요. 소행성의 경우 태양계가 형성될때부터 남아있는 원시 물질을 보유하고 있기에 지구 및 행성이 형성되기 전 태양계 원시 물질이 어떤 성분이었는지 연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면서 유기물과 물을 공급했을 가능성이 제공되기에 지구 생명의 기원을 연구할수도 있으며 지구 충돌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목적과 소행성의 많은 귀금속을 효율적으로 채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