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소중한후루티9
소중한후루티924.04.27

우리말 복수형 '우리'랑 '우리들'이 전부 맞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라는 단어 자체가 자신 포함 다른 사람이 있는데도 뒤에 '-들'을 붙여도 맞는 이유가 있나요??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걷는것이건강에최고입니다. 우리라는 말자체가 이미 무리를 이야기하는 것으로복수형 낱말이기 때문인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귀여운팬더곰238입니다.

    문법적으로 봤을 때는 우리라는 단어가 복수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맞는 표현이며 우리들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는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직한불곰268입니다.


    복수를 의미하는 '우리', '우리들' 전부 맞는 표현입니다. '우리'에서 '-들'을 붙여 더 강조하고 싶을 때 쓰는 표현일 뿐입니다.


    -들은 복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인데 '너희', '너희들' 같이 '너희'를 더 강조하고 싶을 때 쓰입니다.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 정확한 논리는 아니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2인 이상 = 우리

    2인 이상이 묶인 여러 사람 = 우리들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되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단정한지빠귀108입니다.

    우리'는 복수의 의미가 있는 인칭 대명사이며, '-들'은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국어에서는 인칭 대명사에 복수를 나타내는 '-들'이 붙어 '너희들, 우리들, 저희들'로 쓰입니다. 문법적으로 이를 잘못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인구어(印歐語)와는 달리 국어는 수(數)의 범주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여, 체언에 '-들'이 잉여적으로 붙는 경우가 있으므로, 문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출처-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alcho&logNo=221618244212&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