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어쩐지낭만적인모델
어쩐지낭만적인모델

염기성과 알칼리성은 결국 같은 뜻인가요

pH가 7보다 높으면 염기성이라는데 알칼리성도 그렇다고 설명이 돼 있어서요.

그런데 또 보면은,

알칼리성이 염기성의 부분집합이라 하는데..

더 자세하게 쉽게 알려주세요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염기성은 pH가 7보다 높은 모든 물질을 말하며, 물에 녹든 안 녹든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알칼리성은 그 중에서도 물에 잘 녹는 염기성 물질을 말합니다. 그래서 알칼리성은 염기성의 일부입니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NH₃)는 염기성이지만 물에 잘 녹지 않아서 알칼리성은 아니지만, 수산화 나트륨(NaOH)은 물에 잘 녹고 염기성을 띠며, 알칼리성도 맞습니다.

    1명 평가
  • '염기성'과 '알칼리성'은 유사한 개념이긴 하나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염기성'은 산과 반응해서 수소 이온(H⁺)을 받거나, 수산화 이온(OH⁻)을 내놓을 수 있는 성질을 말하는데요, 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에서는 H⁺를 받아들이는 물질, 루이스 정의에서는 전자쌍을 주는 물질을 말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알칼리성'의 알칼리는 알칼리 금속(Na, K 등)과 알칼리 토금속(Ca, Ba 등 일부)의 수산화물을 의미하는데요, 즉, 물에 잘 녹아서 OH⁻ 이온을 내놓는 물질을 지칭합니다. 따라서 알칼리성은 염기성 중에서도 수용액에서 OH⁻을 내놓는 경우에 한정된 부분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