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악어와악어새12
악어와악어새12

보어의 원자 모형과 양자역학적 원자 모형에서 전자 궤도를 설명하는 방식은 어떻게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보어의 원자 모형과 양자역학적 원자 모형에서 전자 궤도를 설명하는 방식은 어떻게 다르나요?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보어의 원자 모형은 전자가 정해진 궤도를 따라 도는데 에너지가 양자화된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양자 역학적 모형은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자가 입자성과 파동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지요.

    보어의 원자는 수소 원자의 선 스텍트럼을 설명했으나 다전자 원자와 전자의 파동성을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두 모형의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보어의 모형에서는 전자가 에너지를 잃지 않는 특정한 원형 궤도에만 존재할 수 있다고 과정합니다.

    이러한 궤도는 정상 궤도 라고 불리며 전자는 이 궤도 사이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

    양자역학적 모형에서는 전자의 궤도를 오비탈 이라고 하며 , 이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 분포를 타나내는

    수학적 함수 입니다. 오비탈은 특정한 수학적 형태의 궤도를 따르며, 전자는 이 오비탈 내에서 확률적으로 존재합니다.

    결론적으로 보어이 모형은 전자를 특정한 정상 궤도에 고정 시키고 에너지를 양자화하는 반면, 양자역학적 모형은

    전자를 확률적으로 설명하고 오비탈의 개념을 사용하여 전자의 상태를 묘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가 원자핵을 중심으로 특정한 고정된 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이산적인 에너지 준위를 가집니다. 반면 양자역학적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의 위치를 확률적으로 설명하며, 전자는 특정한 궤도를 도는 것이 아니라 오비탈이라는 공간에서 존재할 확률이 분포합니다. 즉 보어 모형은 고전적인 행성 모형에 가깝고 양자역학적 모형은 전자의 파동적 성질을 반영한 확률 밀도 분포로 설명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궤도처럼 도는 행성으로 보고, 특정한 에너지 준위에서만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모형은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 설명에는 유효했지만, 복잡한 원자에는 맞지 않았습니다. 반면, 양자역학적 원자 모형은 전자를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으로 간주하여, 전자가 '어디에 있다'보다는 '어떤 확률로 존재한다'는 의미의 전자 구름을 사용합니다. 이는 수학적 파동함수를 통해 전자 위치에 대한 확률 분포로 설명되어 다양한 원자적 현상들을 더욱 정확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보어의 원자 모형은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서 특정한 원형 궤도를 따라 운동한다고 설명합니다. 전자는 특정 궤도에만 존재하며, 이 궤도에서는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반면 양자역학적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가 특정한 궤도를 가진다고 보기보다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 존재할 확률이 높은 영역(오비탈)으로 설명됩니다. 전자는 파동성과 입자성을 동시에 가지며, 이로 인해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가 적용됩니다. 양자역학적 모형은 전자 궤도를 확률적으로 모델링하여 전자의 행동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