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1305852
1305852

코스피와 미국증시의 수익률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한국주식과 미국주식에 투장중인데 코스피와 미국증시를 월봉으로 보면 미국증시 수익률이 압도적으로 높은거 같은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코스피와 미국 증시의 상승 괴리가 크게 나타나는 것은 미국 경제의 경우에는 침체가 발생하지 않고 꾸준한 상승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뚜렷한 실적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업의 밸류업 프로그램 또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서 투매가 이루어졌기 때문이에요

  • 아무래도 미국은 첨단 기업들이 계속 탄생하며 주주환원도 적극적이기에 이에 따라서 많은 자금이 모여 상승을 보였으나 우리나라는 반대로 주주환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등 이에 따라서 수익율 등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 먼저 미국은 글로벌 기업이 많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 내수기업이 많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 또한 글로벌 자금이 집중되는 곳이 한국이 아니고 미국이기 때문에 동일한 가치를 지닌 기업이

      한국과 미국에 상장되었을 때 더 인정을 받는 곳은 미국입니다.

    • 이와 같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미국과 한국의 증시를 비교하면 미국이 훨씬 높은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 첫째, 미국 기업들의 기술 혁신과 성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미국 기업에 대한 믿음과 기대가 높습니다. 둘째,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안정적이고 높아서 기업들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셋째, 미국의 금융 시장이 유동성이 높고 다양한 투자 기회가 있어서 투자자들이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미국상장기업들의 실적입니다. 인터넷이나 AI등 글로벌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그만큼 성장서 있고 돈도 잘 버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우리나라는 주로 중간재 수출로 먹고 삽니다. 원재료도 잘 없으니 수입해와서 만들어서 어느 완성품에 쓰이는 중간재를 수출합니다. 대표적으로 반도체입니다. 그리고 이 반도체 사업이 우리나라 수출 실적이 20%정도 차지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이 반도체가 어느정도 사이클이 있습니다. 많이 만들고, 신제품이 나오고, 다시 공장을 짓고 다시 만들고 하는 등의 사이클이 있는데 이때 반도체를 비롯한 수출실적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의 이익이 왔다갔다 하고 여기에 따라 주가가 왔다 갔다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주식투자 비중에 30%는 외국인입니다. 외국인은 원화로 바꿔서 투자해야하는데, 원화 가치가 떨어지니 투자하기가 꺼려집니다. 10% 수익내도 지금처럼 환율이 올라가면 말짱 도루묵인것이지요.

    또 미국은 401k라고 퇴직연금같은 제도인데 여기에 주식 비중이 80%가 넘어갑니다. 주식이 잘돼야 연금이 잘됩니다.

    미국주식시장이 세계에 가장 큰데 그만큼 돈도 몰리고 좋은 기업도 몰립니다. 또 미국주식을 산다는 것은 달러로 환전했다는 것이고 달러자산을 보유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일본인들 입장에서는 엔화 대비 달러와 원화 환율이 크게 오른 상황이라 여행자들 입장에서는 손해입니다. 그럼에도 한국 여행을 즐기는 일본인들은 주로 K콘텐츠, K음식 등을 주로 선호하고 요즘에는 서울과 수도권 외의 지방 명소에도 찾아서 방문한다고 합니다. 개별 여행객의 소비 금액은 천차만별일 듯합니다.

  • 제가 알기로는 시가총액 상승률로 보면 우리나라 코스피 도 미국 주식시장 못지않게 높은 상승을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코스피 지수가 왜 오르지 않냐 하는 이유를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에는 우리가 알 만한 큰 기업 중에 자 회사를 가진 회사가 많이 있습니다

    구글 도 있고 테슬라 도 있고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사업을 하면서 자 회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자 회사를 별도로 상장시키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카카오나 엘지 화학 이나 이런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하나라도 더 상장시키려고 합니다그런데 우리나라는 카카오나 LG화학이나 이런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하나라도 더 상장시키려고 합니다.

    그러면 시가총액은 늘어나지만 주가지수는 오르지 않습니다. 이렇게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주주 친화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또한 배당이나 자사주소각 등 주주 친화적인 모습도 미국에 비해 훨씬 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