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젊은매미272
젊은매미27224.03.11

미국 금리를 계속 올린 상태를 유지하는데 인플레이션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미국이 작년 한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렸는데 이렇게 금리를 많이 올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것이 인플레이션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너무 높아진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조치로 금리를 큰 폭으로 상승시켰습니다

    • 하지만 미국 연준의 기대와 다르게 물가가 빠른속도로 잡히진 않았습니다

    • 그래서 아직까지도 고금리를 유지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물가를 잡기위해 소비를 줄이고 대표적인 수단이 금리인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하여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대출이 어렵게 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예적금의 비중이 높아져 시중 통화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상했었던 것은 과거 코로나 시기에 미국은 경기침체를 우려하여서 제로금리로 금리를 낮추었으며, 이에 더해서 막대한 양의 채권을 발행하여 국민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하게 되면서 시장에는 막대한 양의 화폐가 풀리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율이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 되었어요. 여기에 더해서 2022년도 2월에는 러-우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원유 가격의 폭등으로 인플레이션율이 더욱 빠르게 상승하자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였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높이는 이유는 주로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돈을 빌리거나 소비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고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려서 소비를 억제하고 물가상승을 억제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올리는 것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경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작년 한 해 동안 급격히 금리를 인상한 주된 이유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

    통화정책 완화,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교란 등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2. 금리인상의 목적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 통화가치를 높이고 통화량을 줄이려 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와 투자 수요를 억제하고자 합니다.

    3. 금리인상의 영향

    금리 인상은 기업과 가계의 자금조달 비용을 높여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킵니다. 이를 통해 화폐 수요를 낮추고 통화가치를 높여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작년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연준이 강력한 금리인상에 나섭니다. 물가상승률을 2%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금리를 지속 인상한 것입니다. 그 결과 금리가 급등하면서 소비, 주택시장 등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요컨대 급격한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 진정을 위한 미국의 강력한 통화긴축 정책에 따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림으로써 이에 따라서 시중의 돈을 줄임으로써

    물가의 상승에 제한을 두는 것입니다.

    이로써 물가를 잡을 수 있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를 고금리로 유지하면서 현재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까지 잡히기 전까지 기준금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고금리를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기 위함이며, 물가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를 인하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 금리를 올린 상태와 인플레이션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 외에도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기간 동안 거의 제로 금리에 가까운 저금리 기조를 유지했고

    결과적으로 시장에 유동성 (현금) 이 살포되사 시피 했습니다.

    시중에 돈이 많아지니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고

    이를 잡기 위해서 금리가 오르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