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빛이 프리즘을 지나가면 색이 무지개색이 보이던데 이건 빛의 어떤 성질하고 관련된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빛이 프리즘을 지나가면 색이 무지개색이 보이던데 이건 빛의 어떤 성질하고 관련된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색이 왜 다 다르게 보이는지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프리즘의 경우 빛을 굴절 시켜서 색을 나타냅니다. 프리즘내부에는 유리가 있는데요. 빛의 파장에 따라서 공기에서 프리즘 유리로 반사되는 반사각이 다르고 다시 유리에서 공기로 반사되는 각이 다릅니다. 그로인해서 파장이 긴 파장은 빨강색으로 보이고 짧은 파장은 보라색으로 보여서 그 파장의 크기에 따른 반사각이 달라서 결국 그 색이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빛이 프리즘을 지날 때 무지개색이 보이는 현상은 빛의 굴절과 분산 성질 때문입니다 빛은 파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보라 파란색은 많이 꺽이고 파자장이 긴 빨간색은 덜 꺾여 색이 분리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여러 파장이 각각의 색으로 보이며 무지개처럼 나타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프리즘 내부에는 투명한 유리가 있어 빛이 통과할 때 굴절과 분산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물질의 굴절률에 따라 빛의 파장 즉, 색깔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각 파장별로 굴절 각도에 따라 여러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