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Ditto
Ditto24.01.02

비와 눈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요.

구름에 모인 물방울이 무거워져서 내리거나 얼음알갱이가 내리다가 녹으면 비, 얼음알갱이가 녹지 않고 내리면 눈이라고 알고 있어요. 그럼 물방울인 채로 내려오다가 너무 추워서 얘가 얼어서 내려오면 이것도 눈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와 눈은 모두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강수 현상으로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지구의 표면으로 내려오는 것을 말합니다. 비는 대기 중에서 물방울이 모여서 무거워져서 내리는 것이고 눈은 대기 중에서 얼음알갱이가 모여서 무거워져서 내리는 것입니다.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내려오는 과정에서 온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는 지구의 표면으로 내려오면서 온도가 낮아지면서 녹게 됩니다. 따라서 비는 물방울이 지구의 표면으로 내려오면서 녹는 것이고 눈은 얼음알갱이가 지구의 표면으로 내려오면서 녹지 않고 그대로 내려오는 것입니다.

    하지만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내려오는 도중에 온도가 너무 추워서 얼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그대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는 눈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내려오는 도중에 온도가 얼마나 추운지에 따라서 비나 눈으로 내려오는지가 결정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것은 눈이 아니라 진눈깨비라고 부릅니다.

    진눈깨비는 물방울이 추운 공기 속에서 얼어서 내려오는 현상으로, 눈보다는 얼음 비슷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물방울이 추워서 얼어서 내려오는 것은 눈이 아니라 진눈깨비로 분류됩니다.

    눈은 상층에서 물방울이 얼어서 결정화된 상태로 내려오는 현상으로 이 둘은 모두 물이 얼어서 내려오는 것은 같지만, 그 과정과 형태가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주로 고기압이나 추운 기온에서 형성됩니다. 물방울이 추운 공기와 접촉하면 얼어서 얼음 결정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얼어붙은 물방울들이 서로 합쳐져 눈송이가 됩니다 물방울이 추운 온도에서 얼어서 내려온다면 그것도 눈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눈의 형태와 구조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며, 온도와 기상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눈이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