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가 뭔지 알려주세요 궁금해요
페이북 앱을 보는데 ISP 등록 카드가 어쩌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간편결제 및 KB ISP 등록 카드 제외 됩니다
여기서 ISP가 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SP와 같은 경우에는 안심클릭 대 안전결제를 말합니다. IT 발전에 따라 인터넷상의 결제 비율이 높아지고, 신용카드 사용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전부터 세계 양대 신용카드 브랜드인 마스터카드와 비자카드는 인터넷상 신용카드 사용의 안전 보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을 개발, 보급하였다. 그러던 중 1997년 양사가 공동으로 발표한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이 대표적인 인터넷 신용카드 프로토콜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로써 전자상거래에서 지불정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SET은 매우 안전한 프로토콜로서 대부분의 인터넷상 결제에 응용되었으나, 기본적으로 공개키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당시 공개키 기반 마련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보급에 한계가 있었고, 처리절차나 프로그램 설치 등이 복잡하여 사용자들의 이용도 저조하였다. 이에 양사는 이를 개선하여 새로운 인터넷상 신용카드 결제 방식인 시큐어코드(Secure Code)와 3D시큐어(3D-Secure)를 각각 개발·보급하였고, 현재 국내에서도 대부분의 인터넷 거래시 활용되고 있다. 바로 안심클릭(3D-Secure의 서비스명)과 안전결제(Secure Code 적용 서비스명)이다.
먼저 도입된 것은 마스터카드의 인터넷 안심결제(Internet Secure Payment)이다. 이는 공인인증서와 유사한 형태로 마스터카드 가맹 신용카드사로부터 전자인증서를 받아 PC 등에 저장하고 인터넷 결제 시 이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쇼핑몰에 사용자의 금융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전에 등록한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인증서에서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인증을 받으므로 결제 내역에 대한 부인 봉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003년부터 의무적으로 마스터카드 계열 사용 시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KB카드와 BC카드에서 사용하고 있다.
안심클릭은 비자카드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PC에 인증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비자카드 가맹 신용카드사에 사용자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결제 시 쇼핑몰의 결제창 대신에 해당 신용카드사가 안심클릭 결제창을 띄워주고 사용자의 안심클릭 비밀번호와 카드 유효기간, CVC 입력시, 이를 해당 신용카드사에서 사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본인 여부 확인을 수행하고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 역시 쇼핑몰 등에는 사용자의 금융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며, 결제 내역에 대한 부인 봉쇄도 가능하다. 2004년부터 적용되고 있으며, 비자카드 계열로서 국내 대부분의 신용카드에 적용되고 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SP 등록 카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고객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카드입니다. 이 카드는 인터넷 사용자가 ISP와 계약을 맺을 때 제출해야 하는 문서 중 하나입니다.
ISP 등록 카드에는 일반적으로 고객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개인 정보가 포함됩니다. 이 정보는 ISP가 고객을 인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ISP는 이 정보를 법률적인 목적으로 수집하고 보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