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무지개는 왜 7가지의 색깔을 띄나요?

무지개는 왜 일곱가지의 색만 띄게 되나요?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게 되는거며 왜 띄는 색깔이 정해져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다른색은 버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빛은 다양한 색깔이 모두 모여있는 형태입니다. 공기중의 물방울에 의해서 빛이 나눠지면서 다양한 스펙트럼의 빛이 보이게 됩니다. 무지개가 7색깔인것은,, 그냥 7개라고 부르기로 한겁니다.

    구별하기에 따라 20가지 색깔로 할수도 있지만 그냥 7개정도로 정하자 이렇게 정해졌다고 봐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연속적인 스펙트럼입니다! 우리의 가시영역에서 보이게 되는 7가지의 색(빨강, 주항, 노랑, 초록, 청색, 남색, 자색)을 이야기 하는데 이는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게 되면서 색의 연속성이 나타나게 되고 굴절현상에 의해서 7가지의 색으로 구별되게 되는것이지요! 실제로는 연속적인 색의 연속이지만 우리가 이해하고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7가지의 색상이라고 이야기 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