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에 가끔 재벌 2세,3세에 대해?
요즘 뉴스에 가끔 재벌 2세, 3세에 대한 기사( 안좋은 내용, 대기업 높은 자리 선임)등을 접하게 됩니다.
대기업 임원(사장, 회장)의 선임 절차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임원이라고 하는 경우는 '등기이사'를 말하는 것인데 등기이사의 선임은 주식회사의 경우 주주들의 추천 혹은 회사 내의 추천을 받아서 주주총회에서 선임을 하게 됩니다.
대법원의 판례에서 본다면 이사 및 감사의 지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주주총회의 선임결의','피선임자의 승낙' 이 2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기업 임원(사장, 회장)의 선임 절차는 각 회사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1. 후보자 선발 : 기업은 여러 후보자 중 최적의 인재를 선발합니다. 후보자는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에서 충분한 경력과 업계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이사회 심사 : 후보자는 이사회에 의해 심사를 받습니다. 이사회는 후보자의 경력, 업계 지식, 리더십, 비전 등에 대해 평가합니다.
3. 대내외 검증 : 후보자는 대내외적으로 검증을 받습니다. 이는 대내적으로는 기업 내부에서 후보자의 역량과 성향 등을 검토하고, 대외적으로는 경영진, 주주, 시장 등이 후보자를 평가합니다.
4. 최종 선발 : 이사회와 대내외 검증을 마친 후보자 중 최종 선발자를 결정합니다. 이를 위해 이사회는 후보자의 역량, 경영비전, 기업과의 적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5. 임원 선임 : 최종 선발된 후보자는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후 대기업 임원으로 선임됩니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대기업 임원은 선발되며, 이 과정에서 후보자의 경력, 역량, 비전, 리더십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