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고귀한종다리194
고귀한종다리194

채권 금리가 높아지는데 왜 안좋다고 난리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직업
직장인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기혼

금리가 높아지면 투자자는 만기시 보상이 는어나니 좋은거 아닌가요? 원리를 이해하기 어렵네요.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환호하고 왜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채권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향후 더 높은 금리로 채권이 발행될 여지도 있고 고금리인 상황이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질문해주신 채권과 금리의 상관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여기서 밝히신 금리는 채권 금리가 아닌 기준금리를 의미합니다.

    채권은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오르고,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내려가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내리는 것에 투자자들이 반응하는 것입니다.

  • ✅️ 금리가 높아지게 되면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 만기 이전 채권시장에서 매각해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환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금리와 가격이 역의 관계 )

  • 고금리가 오래 유지되면 시중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는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줄어드는 빌미가 될 수 있어 투자시장에서는 좋지 않은 징후로 받아들여집니다.

  • 채권의 금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곧 기준금리의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여기서 말하는 채권의 금리는 실질금리를 말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에는 시장의 화폐 유동성 공급이 감소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면서 경제의 위축현상을 유발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 채권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시장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도 금리가 올라가면 안좋고, 일반 시민이나 기업입장에서도 안좋습니다.

    혹시 채권가격측면에서 말씀하신것이라면 채권가격은 채권금리에 반비례합니다.

    그래서 채권금리가 오르면 채권투자자도 안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이자가 늘어나서 기업과 개인의 대출 이자 비용이 커져 부담이 늘어납니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이자가 감소하고 기업가 개인 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서 소비와 투자가 촉진되니 환호하는 것입니다. 금리 변동은 단순히 보상의 증감만이 아니라 경제 전체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 채권 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은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금리가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준금리의 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고금리 유지로 인한 경기 침체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금리가 높아지면 투자자가 받는 이자 수익이 높아지는 것은 맞지만, 동시에 대출금리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출을 받는 부담도 증가합니다.

  • 금리 인상

    • 장점: 새로운 채권 투자 시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기존에 보유한 채권의 가치가 하락합니다. 왜냐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수익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

    • 장점: 기존에 보유한 채권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이는 만기 시 수령할 원금과 이자 지급액의 현재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 단점: 새로운 채권 투자 시 수익률이 낮아집니다.

    --

    이렇게, 금리 인하 때는 보유 채권의 가치가 상승하는 있어서 환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