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지막 4분기 경기가 어떻게 될지 알려주세요?
2023년도 이젠 마지막인 4분기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휘발유는 12주째 고공행진을 하고 있고 미국 고금리의 장기화와 셧다운 위기까지 겹쳐 난항이 예상되는데 전문가님들이 보시는 4분기 경기전망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게 한국의 4분기는 비수기인 경우가 많습니다. 주가도 4분기에 부진한 경우가 많았고 올해도 역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기 기준 경기는 사실 내년 경기에 큰 영향을 받는데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다지고 있는 장후는 있으나 대내외 경기는 사실 아직 바닥으로 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특히, 금리 인상애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유가가 감산으로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원유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큰 힘을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물가가 안정화가 되지 못하는 상황에 최근 연준이 금리는 동결하였지만 매파적 발언을 하면서 금리인상이 한번 더 이뤄질수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남은 4분기 경제 키포인트는 사우디와 미국의 협상이 되지 않을까 싶지만,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의 유동성 위험 등을 감안하였을때 경기가 쉽사리 회복되기는 어려워보이며, 내년 하반기 정도까지 현상황이 유지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4분기 경기의 경우에는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 수출 실적이 회복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며, 환율 상승으로 인해서 수입이 감소해서 무역수지가 흑자는 보이겠지만 수입 감소로 인한 흑자라서 경기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물가가 확실하게 잡힐때까지 물가를 내리지 않는다고 해서 계속 고금리가 유지될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물가가 잡히지 않았고 경기,부동산 침체로 하반기도 현재 상태로 지속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원유의 가격이 상당수 올라가고 있어
다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에 이에 따라서
경기가 어려울 가능성이 커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와 4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1%와 1.3%로 제시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올해 1번 더 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국 경기가 튼튼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 우려는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 4분기는 셧다운 여부 이외에도 국제 유가의 추이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