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바이러스는 왜 이렇게 많은가요?
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등 약 50여 가지가 있다고 왜 많은지와 각 바이러스의 큰 차이점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은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하고 변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심지어 특정 백신에 적응하고 내성이 생기는 바이러스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런 능력으로 인해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많아졌습니다.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많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흔히 매년 맞는 독감 예방접종의 경우, 유행 할 것이라 예상되는 바이러스의 백신을 접종하는 것입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했음에도 독감에 걸리기도 하는 이유입니다.
말씀대로 감기의 원인이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이기 때문이며 50여가지가 아닙니다.
감기는 주로 라이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이 바이러스만 해도 101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또한,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50여가지가 아니라 최소 200여 가지의 바이러스 아형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 중 가장 흔한 것은 라이노바이러스로, 전체 감기의 약 30~50%를 차지합니다.
바이러스의 다양성은 면역 체계가 각각의 바이러스에 대해 특화된 반응을 개발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라이노바이러스 1호에 대한 항체가 있더라도, 다른 유형의 라이노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차 면역’의 부재는 사람들이 일생 동안 여러 번 감기에 걸릴 수 있는 이유죠.
또한, 바이러스는 빠르게 변이할 수 있어, 면역 체계가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감기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계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결과로, 항원 변이로 인해 면역 반응이 봉쇄되고 쉽게 재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을 뜻합니다.
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다양한 이유는 주로 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 때문입니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감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바이러스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바이러스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고 유형에따라 그룹으로 분류합니다.
200여종 이상의 바이러스가 비슷한 증상을 유발하며 이를 감기라고 지칭합니다.
바이러스 종류에 상관없이 기침,인후통, 재채기, 오한, 발열 등이 생기면 감기라고 묶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해당 바이러스들이 주로 호흡기로 감염되므로,
바이러스 밀도가 높은 호흡기 주변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인체의 면역반응 때문에 재채기, 기침, 발열 등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심각하지 않고 비슷비슷하며, 너무 흔하게 발병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종류마다 병의 이름을 따로 붙이거나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그냥 감기라고 합니다.
또한 감기증상을 내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많기는 하지만,
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호흡기융합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으로 특징에 따라 묶을 수 있고 200여종의 바이러스는 이런 그룹에 속하는 아종들입니다.
바이러스들에 다양한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가 생기며
큰 형태는 비슷하더라도 종류마다 항원이 달라 일일이 백신을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위처럼 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특징에 따라 몇가지 그룹으로 묶는데, 몇가지만 소개해드리면
감기의 가장 흔한 원인인 리노바이러스 류들은 RNA 바이러스이며, 둥근 공모양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DNA를 사용하는 바이러스이고 정이십면체의 모양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를 사용하는 바이러스이고, 관찰시 왕관모양의 돌기를 볼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대유행한 코로나19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로 인해 생긴 바이러스이며,
그외의 일반적인 코로나바이러스는 보통의 감기를 일으키는 종류가 많습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는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로, 이 바이러스만 해도 100종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이 있으며 그 외에도 코로나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들이 감기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생명체에서 생각해보면 강아지라고 해서 모두 다 같은 강아지가 아니라 여러 견종으로 나뉘어지듯이 바이러스 역시 저마다의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입니다. 바이러스의 유형은 여러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요, 단일가닥 DNA를 유전체로 가지는 바이러스, 단일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는 바이러스, 이중가닥 DNA를 유전체로 가지는 바이러스와 같이 유전물질의 유형에 따라서도 여러 종류로 나뉘게 됩니다.
감기 바이러스가 너무 많은 이유는 바이러스의 높은 변이율 때문입니다. 바이러스는 RNA를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어 DNA보다 오류가 잘 생깁니다. 이런 오류로 인해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키면서 수많은 아형이 생겨납니다. 리노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 등 주요 감기 바이러스들은 서로 다른 종류이며, 유전적 구조와 감염 경로, 증상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 면역체계는 이렇게 다양한 바이러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감기에 반복적으로 걸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