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사막위의오아시스
사막위의오아시스

오존층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공기중의 질소 산소등 구성비는 대부분 비슷한데

하늘에 오존층은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요?

그리고 지구온난화가 오존층이 파괴되서 그런건데 오존층이 어떻게 태양빛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중에 있는 산소(O2)는 자외선에 의해 쪼개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산소(O2)와 만나 오존(O3)가 되는 것이죠. 이를 반복하여 오존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오존은 우리 지구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주로 빠져나가는 복사열을 잡아두며 지구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죠. 오존이 파괴되면 복사열을 잡아두지 못해 기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오존은 우주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흡수해주기 때문에 우리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존은 공기 중의 산소에 파장이 200-300nm인 자외선이 작용하여 생성됩니다.

      대기 중 산소분자(O2)가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강력한 자외선을 받아 두 개의 산소원자(O)로 분해되고 성층권 오존은 이때 발생된 산소원자가 다시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생성됩니다.

      한편, 자외선은 오존을 산소분자와 산소원자로 분해시키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자외선은 오존을 생성시키기도, 분해시키기도 하므로 이것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대기 중에는 일정량의 오존이 존재해 왔습니다.

      여기서 태양빛을 줄이는 원리가 설명됩니다. 오존과 산소의 변환과정에서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존층은 공기분자가 태양 자외선의 강한에너지를 받아서 분해되고 여기서 오존분자가 만들어집니다.


      즉, 오존분자가 만들어지며 자외선을 흡수하고, 지상에 내려오는 자외선의 양을 줄여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국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에서 약 11킬로미터~50킬로미터 까지의 대기를 '성층권이'라고 합니다. 성층권의 공기는 아주 고요하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다. 성층권 약 25킬로미터 상공에는 오존층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오존층은 안정적인 형태인 산소 분자가 태양 자외선의 영향을 받아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생기는 층이므로 그러한 장소로 적절한 환경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오존층은 흔히들 아시다시피 자외선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태양빛을 줄인다라고 보기보단 나쁜 자외선 구간의 영역을 줄여 피해를 줄여주는 역할입니다.


    • 오존층이 태양빛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존층이 파괴되면 피부암의 확률이 높아집니다.

      오존은 화학식으로 O3입니다.

      자외선이 산소와 부딪히면 O2가 O O로 분리되고 O3로 결합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생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