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운좋은망둥어218
운좋은망둥어218

옛날에 메르스 ? 지금 코로나에 대해

옛날에 메르스 라는 전염병이 유행 했잖아요 근데 그건 금방 끝났잖아요 ? 제가 그때는 중학생이여서 잘 몰랐는데 지금이랑 다르게 왜 그리 빨리 끝난건가요? 코로나 처음 발생했을때도 메르스처럼 금방 없어지겠지 생각했는데 그건 또 아니더라구요.. 무슨 차이 인가요? 그리고 끝나는데 얼마나 걸렸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0월말 11월초 정부가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현재 확진자의 90%는 미접종자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성모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메르스는 코로나와는 달리 치사율이 높았고 전염률이 낮았습니다.

      치사율이 높으면 보통은 바이러스를 퍼트리기전에 숙주가 사망하여 전염률이 낮은편입니다.

      코로나의 경우 치사율이 다소 낮은편이고 전염성이 강해서 종식하기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독감이나 감기가 매년 기승을 부리듯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개인 방역으로 최대한 감염되는 빈도를 줄이고, 백신을 맞아서 독감처럼 걸리더라도 치명률을 떨어뜨리는 방법이 가장 현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메르스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자연에 있는 유전자서열이 아니고,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바이러스다 보니

      백신과 더불어 치료제 또한 없었던 상황이라 더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메르스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이었는데, 메르스는 지금의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각국에서 미리 인지하고 경각심을 갖고 있어 방역을 철저하게 하였기에 유행이 심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각국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전에 너무 빨리 퍼져서 훨씬 심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의 경우 우선 전파력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바이러스도 바이러스 나름이나 메르스 바이러스의 경우 전파력은 낮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메르스만큼의 치명률은 높지 않았으나, 전파력이 매우 강해서 문제가 된 것입니다.

      보통 바이러스의 경우 전파력과 치명률은 반비례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 부족 때문입니다. 과거 메르스는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뤄졌고 일부 치료제 들도 존재했으나 이번 코로나는 처음 생겨 자료 자체가 많이 부족하며 현재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나 그것보다 돌연변이가 더 빠른 상태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메르스는 코로나와 달리 과거 연구 자료가 많았습니다. 즉 기존에 없던 바이러스가 아니였기 때문에 이에 대해 쉽게 대처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는 2020년 처음으로 나타났고 그에 따른 연구결과 및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므로 장기간 지속되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