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진단수술비랑 질병후유장애랑 어느게 더 좋을까요
20대 초반 남자입니다
신장기능이 약간 안좋다고 가정했을때 (한번만 검사한거랑 병명은 아직 없습니다)
앞으로 대비해서
질병수술비랑
질병후유장애중 어느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나중에 나이들어 신장이식 또는 신장투석을 하게되는 경우가 있으니
후유장해를 든든하게 가입해 놓으세요. 최대한 많이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뭐가 좋고 말고 할것도 없이.. 대부분 가입할때 수술비랑 후유장애 둘다 넣어서 가입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현 보험전문가입니다.^^
둘은 별개의 담보로 각자 가입하시는걸 권합니다.
신장으로 인하여 질병 80프로 미만 후유장해 가입 시
투석 혹은 제거 시 후유장해 지급률이 높습니다.
또한 신장은 비가역적인 신체 부위로 추후 않좋아지게
될경우 업무. 사회생활에 있어 많은 제한을 가져옵니다.
고로 저는 부담되지 않는 선 에서 두 담보 전부
가입을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부담이 없다면 둘다 가입하는것이 좋지만 하나만 선택한다면 질병수술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가 비싸서 그렇지만 두개다 필요합니다 지ㅣㄴ병수술비는 소소한 수술 용종제거만 해도 보상이 되므로 갸입해두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향후 어떠한 사고로 혜택을 받을지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담보내용을 적정한 보험료로 다양하게 추가하면 좋을 듯 합니다.
신장기능이 안좋을 경우만 가정하면 질병후유장해가 유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
둘 다 준비하시는게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는 질문자님의 보험료 여력을 생각해 보시고 판단하시는게 좋습니다.
1-5종 수술비가 아닌 그냥 질병수술비의 경우에는 보통 가입 금액 한도가 30만원 내외입니다. 이 담보를 가입하신다면 건강검진 시 대장용종을 떼는 가벼운 수술을 받아도 30만원, 신장이식 등 큰 수술을 받아도 30만원을 받게 됩니다. 즉, 자잘한 수술에 대해서는 괜찮은 보장을 가져가실 수 있으나 큰 수술에 대해서는 큰 보험금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질병후유장해의 경우 보통 가입 금액 한도가 3,000만원 내외이지만, 갱신형과 비갱신형에 따라서 보험료 차이가 상당히 많이 납니다.
두 옵션에 따라서 보험료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보고 부담 없는 선에서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추가적인 문의나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오른쪽에 상담 예약 후 연락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