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이 한때 쌀 수출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필리핀은 쌀 생산에 적합한 기후로 한때 쌀 수출국이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필리핀이라는 나라가 현재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될수 있었던 이유는
먼저 인구가 현재 1억 명을 넘어서는등 인구가 꾸준히 늘어 쌀 소비량이 증가 했지만 필리핀 내의
생산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높습니다.
또한, 필리핀은 토지의 특성상 홍수와 가뭄 같은 자연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국가로 생산량이 저조 하고
그에 따라 수입 의존도가 높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필리핀은 과거부터 자국 내에서 쌀을 생산해 왔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되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구조적, 정책적, 기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필리핀의 쌀 생산 문제
(1) 낮은 농업 생산성필리핀의 쌀 생산성(단위 면적당 수확량)은 베트남, 태국, 인도 등 주요 쌀 생산국보다 낮음.
농업 기술, 관개 시설 부족, 비료 및 품질 좋은 종자 사용의 한계로 인해 생산량이 제한적임.
필리핀은 태풍,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나라임.
2019년과 2020년, 강력한 태풍(특히 태풍 곰파, 몰라베, 감마)이 필리핀 주요 쌀 생산 지역을 강타하면서 수확량이 크게 감소함.
2023년에는 엘니뇨(El Niño) 현상으로 가뭄이 발생하며 쌀 생산에 타격을 줌.
농경지가 점점 도시 개발로 인해 줄어들고 있으며, 많은 농부들이 농업을 포기하고 도시로 이동.
생산 가능 면적이 줄어들면서 쌀 자급률이 점점 낮아짐.
2. 급증하는 국내 소비
(1) 인구 증가필리핀은 1억 1천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국가로, 매년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인구 증가에 따라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국내 생산이 이를 따라가지 못함.
필리핀 사람들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쌀을 주식으로 많이 소비하는 편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약 110~120kg로 상당히 높은 수준.
3. 정부의 정책 변화
(1) 2019년 쌀 관세화법(Rice Tariffication Law) 도입필리핀 정부는 2019년 이전까지 수입 쌀에 대해 할당량을 적용하며 강하게 통제했음.
하지만 2019년 이후 쌀 관세화법(RTL, Rice Tariffication Law)이 도입되면서, 정부의 수입 제한이 폐지되고 누구나 쌀을 수입할 수 있게 됨.
결과적으로 베트남, 태국, 인도 등에서 값싼 쌀이 대량으로 수입되며, 필리핀의 쌀 수입량이 급증함.
필리핀 정부는 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이 미흡했음.
2020년 이후 비료·농기계 지원 부족, 농업 보조금 축소 등의 문제로 인해 농민들이 경쟁력을 잃음.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필리핀은 기후가 쌀 생산에 적합하긴 하지만 생산 인프라가 노후하며 농업 기술 투자 부족으로 점점 생산성이 떨어져 갔습니다. 또한 자연재해까지 자주 발생하여 수익성이 떨어졌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건비 상승 등으로 생산 비용이 더욱 증가하자 오히려 수입 쌀이 더 저렴한 역설적 효과가 나타나고 인구가
증가되어 쌀 수입이 크게 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필리핀이 현재 최대 쌀 수입국이 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쌀 작물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인구는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수입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4년 엘니뇨 현상과 연이은 폭풍으로 인한 농경지 피해로 현지 쌀 생산량이 2023년 2,006만 톤에서 2024년 1,930만 톤으로 감소해서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이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