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자주 희번덕 거리는 이유가 뭘까요?
제 동료가 대화시 자주 눈을 희번덕 거리며 말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보기에 좋지 않아 얘기해 주고 싶지만 남성분이라 기분 나빠할까봐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왜 저런 습관이 생겼는지 궁금해 지더라고요. 단순 습관일까요?
눈을 자주 희번덕 거리게 하는 의학적인 질병은 따로 없습니다. 동료분의 대화 시 자주 눈을 희번덕 거리며 말하는 습관은 특별히 병적인 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습관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대화를 할 때 자신의 표정을 알 수 없고 좀 더 상대방이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화를 할 때 그런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말씀을 해주지
않는 경우,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대화할 때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행동하도록
말씀드리는 것도 좋을 수 있으며 잘 고쳐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틱 증상이 있지만 단순히 행동을 반복한다고 해서 이를 틱으로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다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동료가 눈을 희번덕 거리며 말하는 증상 있어 문의 주셨습니다.
말씀 주신 것처럼 단순한 습관의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습관인것으로 보입니다. 가벼운 틱증상일수도 있긴합니다.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흔히들 알고 있는 틱장애의 일종입니다.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면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모습을 봐야 알 수 있지만 습관적인 행동일 수도 있고 행동 틱일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틱이 생기는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뇌의 생화학적 이상, 호르몬, 출산 과정에서의 뇌 손상이나 세균감염과 관련된 면역반응 이상 등이 틱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그런 정도라면 몸에 어디 문제가 생겨서 나타난 것은 아닙니다. 습관인 것이지요. 습관은 개인차이가 있는 것이라서 왜 그런 습관이 생겼는지는 설명이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틱 증상같은 것일 수도있구요
그냥 습관일 수도 있죠.
지적 안하시는게 서로 좋을듯하네요.
보기 좋지 않겠지만요. 본인도 아마 알고있지 않을까요
안고쳐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