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견종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조선후기 새로운 농법의 등장으로 생산량이 늘어나자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상업 작물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하는데요. 그때 등장한게 견종법이라는데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종법은 밭작물을 파종하는 방식으로 이랑과 이랑 사이에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랑과 이랑 사이를 견(畎, 고랑)이라고 하는데, 견에 파종한다는 의미로 견종법이라고 칭한다. 이는 이랑에만 파종을 하는 농종법(壟種法)과 차이가 있다.
-출처:우리역사넷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중기 이후에 발달한 농법으로 조선시대의 실학자 박세당, 서유구에 의해 소개된 농법으로 그 때까지의 파종방법을 개량해 밭이랑과 밭고랑을 내고, 파종을 밭고랑에 하도록 한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견종법 이란> 조선시대의 실학자 박세당.서유구에 의하여 소개된 농법 입니다. 그때 까지의 파종방법을 개량하여 밭이랑과 밭고랑을 내고 파종을 밭고랑에 하도록 한 방법 입니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를 통하여 대전마다 경작을 바꾸는 밭과 만전(밭이랑을 내지 않은 밭)을 비교 하면서 견종은 가뭄에도 종자의 발아가 쉽고, 중경제초가 쉬워 곡묘에 통풍이 잘 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모근에 베토를 하므로 풍랑에도 강하여 만전에 비해 5배의 수확이 있다고 지적 하였습니다.
견종법의 실시는 생산량 증가 및 노동력의 절감을 가져왔으며 이는 논농사의 이용법 확대와 더불어 토지 생산성 향상의 주 요인 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밭을 갈아 이랑과 이랑 사이에 고랑을 만들고 고랑에 작물의 씨앗을 뿌리는 파종법. 밭을 갈아 이랑과 이랑 사이에 고랑을 만들고 고랑에 작물의 씨앗을 뿌리는 파종법. 이랑주1과 이랑 사이의 골에 파종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