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중에 슈링크플레이션이 무슨뜻인가요?
경제공부를 이제 시작해 가는 초급자인데요.
경제용어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이 무엇을 뜻하는지
예를 쉽게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란 기업들이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한 채 제품의 크기나 중량을 줄이거나 소비자가 느끼지 못할 정도로 품질을 낮추어 판매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가격인상의 효과를 누리려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이 행위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수익을 거두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A과자 중량이 100g에 1,000원에 판매하고 있었는데 A과자의 중량을 99g로 낮추면서 가격은 그대로 1,000원에 판매하는 것입니다. 즉 소비자가 느끼지 못할 정도로 중량을 줄이는데 회사 입장에서는 100개를 줄이면 1개를 추가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1%의 추가 수익이 발생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입니다.
기업들의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지금처럼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가격경쟁력과 이미지가 살아남기 위해서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경기가 좋을때야 사람들의 지갑이 잘 열리다보니 '품질이 좋고 양이 많은 것'에 대한 선호도가 있어서 가격을 인상해도 물건이 팔리지만 지금처럼 경기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조금이라도 값싼 물건을 찾게 되는데 가격을 올리게 되면 기업의 판매량은 현격히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이렇게 고객들이 알지 못하게 속이는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품질을 조금 바꾸거나 혹은 양을 1%씩만 줄이더라도 기업 입장에서는 1%의 이윤이 추가적으로 남는 것이다보니 이러한 슈링크플레이션을 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크기나 수량이 감소하는 반면 가격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약간만 증가하는 경제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동일하거나 더 높은 가격으로 더 적은 제품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무게가 100g이고 가격이 2달러였던 초콜릿 바가 지금은 무게가 80g이고 여전히 가격이 2달러라고 상상해 보십시오. 원래 제품에 비해 크기가 줄어들고 가격이 높아지는 것이 슈링크플레이션의 한 예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재료비, 운송비, 인건비 상승, 소비자 선호도나 시장 상황의 변화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기업은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소비자를 멀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이윤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슈링크플레이션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 불만과 불공평한 인식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는 더 적은 제품에 대해 동일하거나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