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아노미 현상이 뭔가요? 예전에 배운거 같은데...

예전에 학교 다닐때 배웠던 거 같습니다. 지인들과 대화하면서 나왔는데 각자 무슨뜻인지 정확히 모르면서 쓰네요. 어떤 현상을 말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노미현상의 뜻이 궁금한가봅니다.

    사회적 병리 현상의 하나입니다.

    아노미현상이란 급격한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종래의 규범이 약화 내지 쓸모 없게 되고

    아직 새로운 규범의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서 규범이 혼란한 상태 또는 규범이 없는 상태로 된 사회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노미는 무법, 무질서의 상태로 기존의 전통적인 규범과 가치관이 무너지고 그것을 대체할 새로운 규범과 가치관이 아직 정립되지 못하여 혼란과 무규범 상태에 빠지는 것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회적인 변동이 급격하게 발생할때 기존의 가치관등과 새로운 가치관이 대립하는 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 같은 mz세대와 기존세대의 마찰도 크게보면 비슷하다고 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노미 현상이란,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규범이 사라지고 가치관이 붕괴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개인적 불안정 상태를 뜻하는 말입니다. 아노미 상태에 빠지면 삶의 가치와 목적의식을 잃고, 심한 무력감과 자포자기에 빠지며 심하면 자살까지 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노미현상 > 사회적 병리 현상의 하나로

    급격한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종래의 규범이 악화 내지 쓸모없게 되고 아직 새로운 규범의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서 규범이 혼란한 상태 또는 규범이 없는 상태로 된 사회현상을 뜻합니다.

    어원은 무법.무질서의 상태, 신의나 법의 무시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노미아 로서 중세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에밀 뒤르켐은 사회분업론과 자살론을 통하여 근대사회학에 부활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