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우주 관련 내용 중 로슈 한계라는 단어는 뭘 의미하나요?

우주 관련 시청을 즐기는 사람입니다만

이게 각종 소행성이나

모행성의 위성

혜성 관련해서

이게 서로 접근할 때

무슨 로슈 한계?? 그거를 자꾸 언급하던데요

로슈한계 때문에 행성에 고리가 생긴다 등등 내용을 여러번 들은 듯 합니다.

그럼 이 로슈한계 라는 게 정확하게 뭘 의미하나요?

그리고 어떻게 작용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로슈한계는 천체가 중력적 인력과 기조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파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를 의미하는데요~에두아르 로슈라는 프랑스의 천문학자에 의해 1848년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로슈한계는 큰 천체 주위를 도는 작은천체가 자신의 중력으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 거리이며 이 한계를 넘어서면 큰 천체의 기조력이 작은 천체의 자체 중력보다 강해져 작은 천체의 파괴에 의해 조각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작은 천체가 자전하거나 궤도를 돌면서 자체의 중력으로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며 큰 천체가 작은 천체에 가하는 중력이 거리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며 로슈한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큰 천체의 기조력이 작은 천체의 자체 중력보다 강해져 파괴되며 조각나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