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24

연산군은 폐위된후 어떠한 생을 살았나요?

우리나라에서 폭군의 대명사인 연산군은 잔혹한 짓을 많이 했는데요. 결국 반정으로 폐위가 되었지요.연산군은 폐위된후 어떠한 생을 살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종반정으로 폐위된 연산군은

    강화도 교동의 유배가 되고, 유배 도중에 연산군의 아들 폐세자가 사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독살설, 역병에 걸렸다는 소문도 있었습니다.

    31세의 나이로 죽게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에서 군으로 강등된 연산군은 강화도 교동으로 유배가서 몇 달만에 그곳에서 최후를 맞이합니다.

    절대 왕권으로 흥청망청 놀고 먹으며 제멋대로 즐기던 양반이 한순간에 몰락하고 초라한 유배생활을 해야 하는 본인의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마음의 병을 얻었을 수 있습니다.

    또, 중종반정 후 연산군의 어린 자식들도 대부분 사사되거나 비참한 미래를 맞이 하는데 이 사실이 연산군에게 알려졌을지 모르지만 알고 있었다면 그에 대한 정신적 충격 또한 사망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록에 연산군이 유배지에서 11월에 역질에 걸려 유배된 지 두 달 만에 29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고 나오지만 당시 역질이라는 전염병이 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배되있었던 연산군을 보필하고 함께 연산군 의중을 들었던 나인들과 유배지를 지키고 있었던 군졸들 중 의아하게도 한 명이라도 전염됐었다던가 하는 기록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독살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종반정 후 폐위된 연산군은 강화도 교동현으로 옮겨졌다. 9월 26일에는 두 아들이 함께 사사되었고, 연산군도 11월 8일 역질로 사망하였다. 본래 강화도 교동에 장사지냈으나, 1512년(중종 7) 거창 군부인 신씨가 임금에게 양주 해촌(海村)으로 이장하기를 청하자 중종이 허락하고 왕자의 예로 정중히 개장하도록 하였다.

    출처 : 향토문화전자대전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산군은 1506년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어 교동도에 유배되어, 2개월 만에 3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의 죽음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병사 또는 자살로 추정된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