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따라가는 모습이 비췬다고 간혹 이야기가 있는데, 그 모습이 어떻게 나타날까요?
일본의 거품경제 및 대내외적인 정책실현의 실패로 인해서 부강하던 일본의 빈곤의 30년이 있었고, 아직도
그곳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맞물려서 우리나라의 경제선순환의 방향도 녹록치가 않는데
일본과 우리나라의 정책방향이나 방법이 거의 비슷하게 돌아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보처럼 잃어버린 30년에 우리나라가 빠진다면
아무래도 디플레이션에 빠지구
부동산도 지속적인 하락을 보일 수 있고
더불어서 장기적 경기침체 등이 보일 수 있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년이 되는 것의 증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른 것이 아니라 올해 나타나는 것처럼
경제성장률이 0.* 퍼센트만 오른다거나 아니면 역성장을 하거나 하는
일들이 이어지는 것이 잃어버린 **년이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을 따라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저성장, 고령화, 가계부채 증아, 신성장 동력 부재 등 구조적 문제가 누적되면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노동가능 인구 감소, 소비 위축, 산업경쟁력 저하 등 일본의 장기침체와 유사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혁신과 구조개혁이 미흡할 경우 장기 불황이 고착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경기가 급격히 성장하다가 경기침체가 발생하며 소비자들이 소비를 하지 않으면서 30년간경제성장을 하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소비진작을 위해 전국민지원금 지급, 쿠폰 지급, 예금금리 0% 등 온갖 정책을 추진했으나 소비가 살아나지 않으면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민간 부채가 일본의 ‘버블’ 시기만큼 늘어났다며 일본의 전철을 밟고 있다는 경고가 한국은행 발표 자료에 나타났는데요. 저출산, 고령화, 민간부채 증가 등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정밀한 거시건전성 규제 운용, 통화정책과의 공조 강화, 가계부채 관리 기조 견지, 신속·과감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