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줄기세포 연구에도 윤리적인 이슈같은게 있었나요 ?

안녕하세요 ^^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서 장기 재생 기술의 실용화를 한다고 들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줄기 세포 연구의 윤리적인 이슈같은게 생겨 나온 적이 있나요 ?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줄기세포는 크게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체줄기세포는 인체의 모든 장기에 분포하여 추출에 윤리적인 문제가 거의 없습니다.

    다만 증식에 어느정도 제한이 있고,

    분화능도 배아줄기세포에 비해서는 제한적입니다.

    배아줄기세포의 경우

    무한대로 증식할 수 있고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진 세포이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다만 수정되어 발생중인 포배기 상태의 배아의 내세포괴에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단계의 배아를 파괴해야합니다.

    이 배아는 정상적으로 발달할 경우 나중에 인간으로 태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은 윤리적인 문제를 가집니다.

    어느 단계부터의 배아를 인간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관점에 따라 윤리적인 문제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배아 줄기세포를 사용하는 연구는 배아의 파괴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명의 시작에 대한 종교적, 도덕적 신념과 관련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줄기세포를 유전자 조작하여 특정 세포로 분화시키는 연구는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조작이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동의와 관련된 문제를 제기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여기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배아줄기세포를 제외하면 딱히 윤리적인 이슈와 얽혀있진 않습니다. 

    혹시 황우석 박사의 사례를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2000년대 중반, 배아줄기세포를 통한 복제동물에 관한 연구가 굉장히 핫했습니다. 이때 윤리적인 이슈가 발생했었는데, 배아줄기세포 생성에 필요한 난자를 대학원생들에게 강압적으로 요구하여  불법 채취하여 사용한 일이 그 예시입니다. 

  • 줄기세포 연구에는 주로 배아 줄기세포 사용과 관련된 윤리적 이슈가 있습니다. 배아 줄기세포는 수정란에서 얻기 때문에 인간 생명의 시작 단계에서 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생명 윤리에 반한다고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안으로 성체 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가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초기 배아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논쟁은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