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미국 인디언 보호정책에 대해 궁금합니다.

미국 역사를 공부하던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미국의 인디언 보호 정책은 시간과 함께 변화해왔고 초기에 인디언을 정치적으로 약화시키기 위해 강제 이주시켰다고 알고 있는데요. 이로인해 그 이후 인디언들에게 어떤 삶의 변화가 나타났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 인디언 보호정책은 인디언 지역의 인구를 보호하고 인디언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법률과 정책을 의미합니다. 인디언 보호정책은 미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1. 인디언 예약 지역: 인디언 예약 지역이란, 미국 정부가 인디언들에게 지정한 영토를 말합니다. 이러한 지역은 인디언들의 생활, 문화, 언어 등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2. 인디언 교육: 인디언 보호정책은 인디언 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두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인디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인디언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도 하고 있습니다.

      3. 인디언 의료: 인디언 보호정책은 인디언들의 의료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미국 정부는 인디언들을 위한 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디언 예약 지역 내에 의료 시설을 건립하고 있습니다.

      4. 인디언 문화 보존: 인디언 보호정책은 인디언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미국 정부는 인디언 예술과 공예품의 생산과 보존을 지원하고, 인디언들의 전통적인 문화 행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디언 보호정책은 미국 정부와 인디언들 간의 갈등과 충돌도 일으켰습니다. 예를 들어, 인디언 예약 지역의 소유권 문제, 인디언들의 땅과 자원 관리에 대한 논란 등이 그 예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여전히 논쟁거리가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인디언을 토착민에서 시민으로 전환하고, 인디언의 토지를 미국 정부가 관리하는 것으로 바꾸는 인디언 강제이주정책을 시행했습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 정부는 인디언 보호정책을 개편하였습니다. 1968년 인디언 자결권법(Indian Self-Determination Act)이 제정되어 인디언이 자신들의 사회, 경제, 문화를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디언의 자치권과 문화 보존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