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기특한하늘소262
기특한하늘소262

사제사초는 무슨뜻 인가요? 이것참 사제사초로군 도대체 누구 말을 들어야 하는거지 여기서 사제사초는 무슨 뜻인가요?

사제사초는 무슨뜻 인가요 이것참 사제사초로군 도대체 누구 말을 들어야 하는거지 여기서 사제사초는 무슨 뜻인지 쓰인 말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제사초(事齊事楚)의 뜻은

    양쪽의 중간에서 난처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제사초事齊事楚는 섬길 사, 제나라 제, 초나라 초.

    양쪽의 중간에서 난처한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제사초(事齊事楚)는 "‘제(齊)’나라도 섬기고 ‘초(楚)’나라도 섬긴다."라는 의미입니다. 양쪽의 중간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때 자주 쓰는 표현으로 맹자에 나오는 고사입니다.



    강대국인 ‘제(齊)’나라와 ‘초(楚)’나라 사이에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제사초 (事齊事楚)는 제나라와 초나라를 모두 섬기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양쪽의 중간에서 난처한 상황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고대 중국의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위치한 등나라의 어려운 입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나라를 섬겨야 하는가, 초나라를 섬겨야하는가의 뜻으로 중간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사정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사제사초(事齊事楚)는 "제나라도 섬기고 초나라도 섬긴다"라는 뜻으로, 양쪽의 중간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입니다. 춘추시대에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위치한 등나라의 상황에서의 비유로, 《맹자(孟子)》 〈양혜왕장구편(梁惠王章句篇)〉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등나라는 사방 50리도 못 되는 작은 나라였는데, 북쪽에 강대국인 제나라가, 남쪽에 강대국인 초나라가 있었습니다. 등나라는 두 나라 사이에서 끊임없이 위협을 받았고, 어느 한 나라만을 섬기기도 어려웠습니다.

    등나라의 문공이 맹자에게 찾아와 어려운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물었습니다. 맹자는 "제나라를 섬기느냐, 초나라를 섬기느냐는 제가 딱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꼭 한 가지만 말한다면 이 나라에 못을 파고 성벽을 쌓아서 백성들과 더불어 나라를 지켜 죽는 한이 있더라도 백성이 떠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사제사초는 현재에도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두 회사 중에서 어느 회사에 입사해야 할지 고민하거나, 두 정당 중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해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