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쇠,철이 불에 타지않고 왜 녹을까요?

나무는 타면 재가 되면서 타는데 쇠,철은 타지않고 녹는 건가요?

불에 타지않고 녹는게 물체의 녹는점, 끓는점하고 관련이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후련한에뮤274
      후련한에뮤274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는 타는 물질과 안타는 물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에 타기 위해서는 온도가 올라가면 분해되어 기체로 바뀌고 이 기체에 가연 기체가 있으면 불에 탑니다.

      쇠, 철은 열을 계속 가하면 붉은색 액체로 변하고 1530도 이상이 되면 타게 됩니다.

      (고온일 경우 마찬가지로 탄다는 의미)

    • 안녕하세요. 신민중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은 탄소 원자가 포함되냐에 따라 유기물질 / 무기물질로 나뉠 수 있는데

      유기물질의 경우 불에 타게 되고 무기물질의 경우 불에 타지 않습니다.

      그 예시로 소금(NaCl)은 탄소가 포함되지 않아 불에 타지 않습니다.

      나무의 경우 탄소50% 산소44% 수소5%로 이루어진 유기물질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타게 됩니다.

      반면 의 경우 순철은 탄소가 0.02%밖에 들어가지 않아 일반적으로 무기물질로 취급합니다.

      따라서 나무는 불에 타지만 철은 불에 타지 않습니다.

      물체의 녹는점과 끓는 점은 물체의 인력인 분산력과 연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속은 타지않고 녹는 성질을 갖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속으로 분류가 된것이고 각 금속마다 녹는점이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불에 탄다는 것은 물질이 산소와 산화환원반응 하여 빛과 열을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속 또한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산소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낼 수 있음)

      이러한 것을 고체연료라고 합니다.

      다만, 금속의 경우 반응성이 너무 커 공기중 산소와 반응해 피막(쉽게 말해 녹)을 형성하는데

      이 녹에 의해 산소와 내부 금속이 차단되어 불을 붙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입자를 잘게 쪼개 분말형식으로 한다면 점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불이 붙으면 산소와 반응해 산화반응을 일으켜 재가되어 타는 것입니다

      철은 불에 넣으면 다른 것과 반응하지 않아서 녹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