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건가요?
시장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건가요? 물가 상승과 금리와는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건가요?
저는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곧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화폐 가치 하락 현상이 발생하는 시기에는 금리인하를 하게 되는 경우 화폐의 가치가 더욱 빠르게 하락하게 되면서 향후 경제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서 금리 인하를 하기 어려운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시중에 돈이 더 많이 풀리게 되고 그렇게 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현재 물가가 상승하게 된 것은 코로나 시기에 다량의 돈을 풀었기 때문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 금리를 낮추게 되면 더욱 크게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물가를 잡기 위하여는
금리를 인상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금리인하를하면 물가가 더 치솟을 수 있기에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price)것도 결국 수요와 공급의 문제입니다. 가격이 올라가는 물가 상승은 공급 보다 수요가 많을 때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물가를 제어 하기 위해서 미국 등 주요국들이 금리를 일제히 올렸는데 이는 금리 인상을 통해서 가처분 소득을 낮춰서 수요를 억제하여 가격을 끌어 내리는 효과를 기대한 것입니다.
물론, 필수재의 경우 가격이 올라도 사야하니 그럼에도 절약을 하면서 수요을 줄일 것이라는 기대가 금리 인상 정책 입안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생각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하가 어렵긴하져 금리를 인하하면 기업은 투자를 늘리고 개인소비성향도 높아져서 물가가 오르거든요 물가가 오르는데 금리인하하면 물가가 더더 오릅니당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하가 어려운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시중에 유동성 (현금) 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시기에 금리를 내려서 더 많은 현금을 시중에 풀어버리면
물가는 폭등할 수 있기에 금리 인하가 어려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를 냉각화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물가 상승 시에는 금리를 인하하기보다는 오히려 인상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