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밥 먹을때 무조건 고기만먹는다는 아이는 어떻게 고쳐줄 수 있을까요?

유치원 다니는 딸래미가 밥먹을때 고기만 먹습니다. 그렇다고 쌀 밥이라도 잘 먹는것도 아니고..

이리저리 어루고 달래보아도 고기만 원하고 고기만 먹는 상황입니다.

유치원에서는 그나마 밥을 떠먹기는 하는데 고기 반찬이 나오지 않는 날이면 선생님께서도

답답해하시더라구요ㅠㅠ대략 난감한 상황인데 어떻게하면 아이를 바꿔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들은 고기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야채나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고기반찬만 먹는다면 아이에게 골고루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과 함께 유치원에서 고기가 반찬으로 나오지 않을경우도 있으니 다른 반찬도 먹어야 함을 이야기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다른 반찬을 먹지 않는 다고 해서 내버려두면 편식이 더 심해질수 있기 때문에 편식과 관련된 책이나 영상을 보여주는 것도 좋으며 아이와 함께 요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수 있습니다. 요리를 통해 다양한 재료에 대한 모양이나 식감등을이야기 나누면서 재료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수 있도록 하는것도 좋으며 맛보기를 하며 다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결국에는 편식을 하는 상황인것인데요. 이럴경우 우리 부모님들은 너무 걱정되시고 속상하죠. 이럴때 몇 가지 활용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아이가 새로운 반찬을 먹는걸 시도해보거나 한번이라도 먹었을때 크게 칭찬을 해주이고, 작은 보상이라도 주는겁니다. 예를 들어, "오늘 야채를 잘 먹었네. 잘했어!"라고 말해주며 아이가 반찬을 잘 먹을 때마다 스티커를 주고, 일정 수의 스티커를 모으면 특별한 보상을 주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아이가 요리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직접 요리를 일부 해볼 수 있게합니다. 자신이 만든 요리라는 기억이 뇌에 강하게 있어서 반찬을 먹게 할겁니다.

    세번째로는, 반찬을 재미있는 모양이나 캐릭터로 꾸며주는 겁니다.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고 먹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단, 처음에는 소량으로 주시는게 맞습니다.

    1명 평가
  • 편식을 하는 아이들은 많습니다.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채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볶음, 찜, 그릴 등 좋아하는 식감과 맛을 찾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식사 시간을 스트레스 없이 즐겁게 만들어 주세요. 식사준비를 함께 하거나 식탁에서 즐거운 대화를 나누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부모가 좋은 모범을 보여줍니다. 부모가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영향을 줍니다.

  • 우리 아이들의 편식은 매우 좋지 않습니다. 특히나 고기만 먹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비만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기를 많이 먹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야채를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어릴때부터 야채를 많이 먹는 버릇을 들여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아이가 좋아할 만한 다양한 음식을 소개해 주세요. 예를 들어, 채소를 다르게 조리하거나, 소스나 디핑 소스를 추가해 보세요.

    음식의 색상과 모양을 재미있게 꾸며서 흥미를 유도하세요. 예를 들어, 채소를 동물 모양으로 잘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가 식사 준비에 참여하게 하세요. 자신이 준비한 음식에 대한 흥미가 커질 수 있습니다.

    고기와 함께 다른 음식을 조금씩 섞어 제공하세요. 예를 들어, 고기와 함께 채소를 조금씩 추가해보세요.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면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

  • 많은 아이들이 고기, 계란, 햄 등 좋아하지요.

    다른거 안먹으려 하는 아이 억지로 먹일 수는 없는거 같아요.

    고기를 다져서 야채 등을 넣어 완자나 떡갈비를 해줘도 좋겠어요.

    두부로 만든 두부고기도 있거든요.

    살짝 변형해서 먹이면 어떨까 해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부모님의 식단을 많이 따라가더라구요.

    평소 건강한 식단으로 식사하게 되면 아이도 서서히 잘 먹을꺼라 생각해요.

  • 가정에서부터 다양한 음식재료와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한 음식을 계속 먹어보게 해주셔야합니다. 유치원이나 학교에서는 강제로 먹게 하고 나서 민원소지가 아주 많으므로 소극적으로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먹기 싫은것을 먹지 않아도 된다는 분위기를 계속 유지 시킨다면 편식이 아주 심한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보통 한학급당 한두명의 아이가 고학년임에도 받은 그대로 버리는 아이들이 있는데 그아이들이 대체로 그런 식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속 꾸준히 바꾸려 해보신다면 서서히 변화 할 테니 시도해보시길 권합니다.

  • 채소와 친숙해 지도록 노력을 해야합니다.

    채소와 같이 음식만들기를 합니다.

    고기음식에 최대한 채소를 곁들여 음식을 만듭니다.

    다양한 영양교육에 참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편식에 관한 영상, 책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