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케이뱅크는 어떤 점에서 수요가 적어 상장에 실패했나요?

케이뱅크는 인터넷은행 중 하나로 쓰는 사람이 종종 보입니다. 몇 번의 상장 실패가 있었는데 케이뱅크는 어떤 점에서 수요가 적어 상장에 실패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케이 뱅크가 상장에 실패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결국 투자자들이 보기에

    수익성이 좋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기에

    수요가 적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가 기업공개를 철회한 이유는 기업공개 추진 당시 계엄과 탄핵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의 상장 실패는 성장성 대비 수익구조 불안정, 경쟁 심화, 자본 확충 한계 때문입니다, 토스, 카카오뱅크에 비해 고객 규모와 브랜드 파워가 낮습니다. IPO 시장 침체와 투자 심리 위축도 수요 부족의 주요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의 경우 케이뱅크 자체의 확장성이 떨어집니다. 가령 토스같은 경우에는 벌써 다양한 프로로젝트나 또는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의 많은데, 케이뱅크의 경우 그 활용성이 매우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 떄문에 기관들도 공모 수요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추후 밴드 상단에 위치하려면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켜야할 것으로 보여집ㄴ디ㅏ.

  • 안녕하세요. 윤만수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의 과거 수익구조 중 업비트 비중이 너무 높다보니 업비트 수수료를 제외하였을 때 사업구조에 대한 의문과 건전성이슈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고객을 모으고 유동량을 높이려고 노력중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의 상장 실패는 공모가 고평가 논란과 투자 수요 부진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기관투자자들이 케이뱅크가 제시한 희망 공모가가 높다고 판단해 하단 또는 그 이하의 가격을 써냈습니다. 특히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 예치금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주요 리스크로 지적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또한 이미 상장된 카카오뱅크의 주가 하락 학습 효과로 인해 인터넷은행도 결국 은행주라는 인식이 강해지며 높은 기업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웠습니다. 대규모 구주매출 비중과 오버행 우려 역시 수요 확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궁극적으로 케이뱅크가 원하는 성공적인 상장을 위한 충분한 투자 수요를 끌어내지 못하면서 상장 계획을 철회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 상장이 두 번이나 철회된 주요 원인으로는 시장에서 생각하는 기업 가치와 케이뱅크가 원하는 가치 사이에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데요. 너무 높은 공모가와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에 대한 높은 의존도도 문제점으로 지적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