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미국의 물가는 안정되고 있고 금리의 급격한 인상도 점차 완화되어 가는데 우리나라 원달러 환율은 왜 이렇게 높을까요?

미국의 물가는 안정화되고 있고 금리의 급격한 인상도 점차 완화되어 가는데

우리나라 원달러 환율은 왜 이렇게 높을까요? 우리나라 경제의 자체적인 문제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지훈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지훈 경제전문가23.05.16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인상했었지만, 가계 및 기업의 부채 부담이 커지고 경제 위축 우려가 크기 때문에 인상폭에 한계가 있으며

    무역적자로 인한 달러 유출이 많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적인 문제도 있지만 전문가들에 의하면

    환율이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다고 보는 거 같습니다.

    가끔 환율이 경기침체를 먼저 예상하고 선행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지금이 그렇다고 보는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금리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고 2022년만큼 높은 폭의 금리인상이 이루어지지는 않겠지만, 미국과의 금리역전현상도 일정시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금리차이가 환율관계에서 아직까지 달러가치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요소중하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대외 건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는다고 해도 수익을 좇아 움직이는 외국인들이 보기에 원화 채권의 매력이 반감될 가능성은 상당하다. 지난 20일에는 외국인이 국고채 현물을 2조 원가량 매도하면서 실제 유출이 일어난 사례도 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레고랜드사태로 인한 공기업의 신용도하락 그리고 채권 저가발행, 많은 외국투자자들이 돈을 회수하는 것들이

    현 실정입니다

    미국 영국등 한국의 정치 경제 움직임에 노골적으로 조롱하는 언론사도 있고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으니

    돈이 빠지고 외화도 빠지는 거죠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안정되어 잇고 금리의 인상도 둔화되어 잇지만 이미 기준금리가 많이 올라갓고 미국과의 기준금리차이도 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환율이 높을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원달러환율의 경우는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중이기는 하나 미국과 한국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1.75%로 심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보니 현재의 상황에서 금리격차가 좁혀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지 않은 이상은 현재의 환율에서 횡보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경제는 수출 중심 경제인데, 이를 설명해주는 경제 지표인 무역수지가 13개월 연속 적자가 발생하는 등 경제적 펀더멘탈이 약화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주 요인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한 반도체 등의 주요 제품의 수출 부진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지속적인 금리동결로 미국과의 한미금리차이가 크게 벌어졌고, 또한 무역적자가 지속되면서 원달러환율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