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폴리코노미의 예시로는 어떠한 것이 있나요?

폴리코노미란 정치와 경제의 합성어로 정치가 경제를 휘두른다는 뜻을 가졌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실에서 폴리코노미의 예시로는 어떠한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폴리코노미(polyconcern)란 한 기업이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다각화되어 있는 경영형태를 말합니다. 폴리코노미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을 들 수 있습니다.

    1. 삼성그룹

    -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바일 등 IT 분야뿐 아니라 건설, 무역, 화학, 금융, 바이오, 서비스 등 다방면에 진출

    2. LG그룹

    - 전자, 화학, 디스플레이는 물론 건설, 서비스, 통신 등 광범위한 사업 영역

    3. GE(제너럴 일렉트릭)

    - 원래 전기제품 회사였지만 현재 의료기기, 항공기, 금융, 미디어 등 다각화

    4. 소니

    - 전자제품에서 출발하여 영화, 음악, 게임, 금융 등 넓은 분야로 확장

    5. 월트디즈니

    - 영화, TV프로그램 제작에서 시작해 테마파크, 상품, 크루즈선 등으로 다변화

    이처럼 폴리코노미 기업들은 위험 분산과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지만, 과도한 다각화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폴리코노미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친화경 에너지를 강조해 여러 보조금 등을 지급하고 있으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바이든 표 IRA를 폐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치(Politics)’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다. 정치가 경제를 휘두르는 현상을 뜻한다. 각 정당이 선거에서 승리에만 초점을 맞추는 선심성 공약을 내걸어 막대한 자금 경쟁을 시작하면, 인플레이션이 극심해지고 국가부채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점을 지적하는 용어로 쓰인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포퓰리즘이 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폴리코노미라고 하는 것은 정치현상이 경제를 흔든다는 것으로서, 미국과 중국의 정치문제로 인해서 무역분쟁이 발생하는 것이 이러한 폴리코노미의 예시라고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이번 우리나라 총선 전에 금투세 관련 이슈와 밸류업 프로그램 등으로 정치적인 공약으로 실물 경제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 총선 이후 이것이 언제 현실화 될 것인지는 전혀 관심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결국 한국 증시는 과거처럼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폴리코노미의 예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예를 들면 현재 여당과 야당은 그 정치적 노선이 다르기에

    여당이 승리하게 되면 감세가 예정되고

    야당이 승리하게 되면 증세가 예정되는 등이 폴리코노미의 예시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정치권에서 특정 우수 산업에 대하여

    이를 지지하고 전폭적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등 한다면

    해당 분야가 전폭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