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아이가 통.. 잠을 안잡니다..
잘때마다 30분 이상을 안자고 혼자 장난합니다..
하루 이틀이 아니라 항상 잘때 마다 그래요..
졸려서 눈은 풀려서 눈비비고 하품하면서도 안자고 장난만 쳐요..
자고싶지않대요..
어떡할까요??
이런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밤에 잠을 자지 않아 고민이시겠어요. 아이들은 성장 과정에서 수면 습관이 자주 바뀔 수 있으며, 때로는 일시적인 문제로 인해 수면 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수면 부족 상태가 계속되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다음은 아이의 수면 습관 개선을 위한 몇 가지 팁입니다.
규칙적인 생활습관 유지 :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고 식사를 하며, 낮잠 시간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전 활동 제한 : 수면 전에는 스마트폰이나 TV 시청 등 자극적인 활동을 자제하도록 하고, 책 읽기나 목욕 등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권장합니다.
부모님의 역할 : 아이가 잠을 자려고 할 때 함께 누워 있어주며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러나 강제로 재우거나 혼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만약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여전히 수면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아동심리전문가 등의 조언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낮에 체육 활동이 모자라 저녁에 체력이 많이 남아 있으면
잠을 자지 않으려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아이가 잠오는 것을 참으려 한다면 아이가 엄마 아빠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거나
엄마 아빠와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 했을 때 욕구 불만으로 잠을 참고 자지 않으려
합니다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 주거나 아이가 잠을 잘 수 있게 주변을 조용히 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늦게 일어나지 않는지/ 낮잠을 자는지 확인 해 주세요
결국 총 수면 시간은 동일 합니다.
일찍 일어나게 되면 일찍 잠자리에 들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잠자리가 불편하지(온도, 습도)는 않은지도 확인 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연령에 따라 잠자기전에 다양한 형태로 잠을 안자기도 합니다. 자고 나면 내일이 온다는 개념이 생기지 않아서 잠을 무서워하는 아이, 성장통 등으로 몸에 오는 감각이 불편하게 느껴리 잠이 안오는 아이, 노는 즐거움을 알아버려 졸려도 안자려고 하는 아이 등이 있습니다. 이는 수면 습관을 지속적으로 해주며 잠을 유도하는 게 좋습니다. 자기전 목욕하고 책 읽기, 마사지 하기 등의 루틴을 만들어 매일 하다보면 생활습관이 되어 잠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통잠을 자는것도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아이가 잠을 많이 자는 성향이라면 아이는 통잠을 금방 잘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중간에 계속 깨어나는것이 당연하다고 보셔야 됩니다. 따라서 이를 막아주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수멶패턴을 만들어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밥을 먹고 목욕을 하고 잠을 자는 패턴을 만들어 주시면 아이의 생체리듬이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잘 때마다 30분 이상 장난을 치며 잠들지 않는 상황은 많은 부모들이 겪는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아이들은 때때로 잠들기 전에 에너지를 소진하거나, 하루 동안의 자극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일정한 루틴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전 일정시간에 목욕을 하고, 자장가 틀어주기, 독서하기 등을 통해 잠자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면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이런 방법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잠을 자지 못한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대체로 자는것을 싫어하고 졸린것을 인정하지않으려 노력하는것 같습니다. 낮시간에 활동을 좀더 시켜 몸이 피곤하면 더잘 자기도 한 낮시간에 체력소모를 더 시켜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졸린눈을 비비고 하품을 하면서도 더 놀고 싶은 마음에 잠을 자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잠은 성장기 아이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밤 10시부터 2시 까지는 깊은 수면을 취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놀고 싶은 아이의 마음은 알지만 되도록이면 일정한 시간에 수면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잠을 잘수 있게 방안의 불을 끄고 잠자리에 눕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안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방안을 어둡게 하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잠을 잘수 있도록 토닥토닥 등을 두드려 주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많이 힘드시죠. 아직은 아이가 어리기에 수면교육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서 그럴수도 있고, 급성장기가 찾아와서 그런수도 있습니다. 또 말씀해주신것에 따르면 최근 스트레스받는 부분이 있어서 굉장히 예민하고 힘들어서 그럴수 있습니다. 애정으로 사랑으로 보듬어주시고 함께 여행도가고 즐거운 시간을 많이 보내주세요. 시간이 가면 점차 나아질겁니다. 힘내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잘 때마다 30분 이상 자지 않고 혼자 노는 경우, 수면 루틴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정한 시간에 취침을 시키고, 잠들기 전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자극적인 활동이나 화면 시간을 줄이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 자장가나 부드러운 이야기로 아이를 차분하게 만들어 주며, 안정감을 주는 인형이나 이불을 함께 주는 것도 좋습니다. 일관성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시도하여 아이가 스스로 잠들도록 유도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아직 아이가 졸리지 않은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낮잠 시간을 줄여 보거나 아이의 활동을 늘려서 잠에 들 수 있게끔 아이의 생활 습관, 패턴을 바꿔 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