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기운찬코뿔소95
기운찬코뿔소95

코로나 검사 재검은 왜 뜨는것일까요?

주변에 코로나 검사를 많이 하고 있는데요.

코로나 검사를 하고나서 코로나 검사 재검이라고 뜨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재검을 해야하는지요?

검사 수치가 애매한 경우가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영민한생쥐293
    영민한생쥐293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코로나 검사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코로나 검사를 위해 채취한 시료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시료가 오염되었거나 제대로 채취되지 않은 경우 제검사를 많이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대부분은 시료 채취 단계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에 재검사를 하게 됩니다.

    즉 시료 채취에 문제가 발생했거나 채취한 시료가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이 아니라면 재 검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코로나 검사 재검의 경우 양성과 음성의 중간단계로 pcr수치가 확인되었을 경우입니다. 결과는 양성./음성으로 표시되지만 실제 실험실에서는 수치를 확인하고 해당 수치가 의미가 있는지 위양성 위음성의 가능성이 없는지 판단해 결과를 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코로나 검사 결과

    검체의 양이 애매한 경우에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성인지 음성인지 애매한 경계에 나올 경우에

    재검사를 한다고 보면 됩니다.

    재검사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검사도 검사의 일종이기 때문에 드문확률로 검사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음성이 나왔어도 감염의 위험이 높은경우에 바이러스가 증식되면서 양성이 되는경우도 있어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재검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코로나 재검을 하는 이유는 애매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건소나 선별진료소에 가셔서 재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사를 실시하는 게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우리 몸에 검출하기에 충분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경우 재검할 필요가 없으나, 기준치가 애매한 경우 재검이 뜰 수 있습니다.

    의심물질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나, 양성이라고 확정짓긴 애매할 때 재검이 많이 뜹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의미하는 것이 코로나 검사 후 미결정 판정을 받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pcr 개념 자체가 특정 유전자 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재료를 넣고 코로나 바이러스의 염기 서열을 인식할 수 있는 물질을 넣어 반응을 하면 양성, 반응이 나오지 않으면 음성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양성, 음성을 판단하는 값을 Ct로 표현하는데, Ct값이 양성, 음성이라고 하기에 애매한 값이 나온 경우 미결정 판정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미결정 판정은 대부분 주로 확진됐다가 회복되는 단계, 또는 감염 극초기 단계에서 바이러스 양 자체가 적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검사수치가 경계에 걸쳐있어 확진이라고 판정하기 애매할때나

    검체가 오염되었다고 판단되면 재검을 하기도 합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맞습니다. 재검을 하도록 결과가 나온다면 이는 검사 결과가 애매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의 역가가 애매하게 나올 경우에는 양성으로 보기에도 애매하고 음성이라고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재검을 하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말씀 주신 것처럼 코로나 검사 시 수치가 애매하게 나오거나 이상한 경우 재검 가능합니다.

    재검 떴다고 무조건 양성이거나 한 것은 아니므로 너무 걱정 마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재검사를 하는 경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우선 첫째로 검사과정에서 검체가 제대로 채취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두번째로는 검사과정이나 판독 과정 중에 오염이 생기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극소량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음성인지 양성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재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현재 일반인들이 주로 받고있는 pcr 검사는 검체 채취는 입으로 1회, 코로 1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검체를 pcr 기술로 증폭하여 바이러스의 양을 측정합니다.

    그 양이 기준치보다 높으면 양성입니다.

    기준치와 비슷하게 나온다면 애매한 경우이므로 재검을 할 때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검사 결과가 애매한 경우가 있습니다. 미결정이라고 하지요. 이런 경우에는 감염의 초기라서 바이러스 양이 적어서 애매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어서 재검사를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코로나PCR 결과 양성과 음성 사이의 값 (grey zone) 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검사자 체내 바이러스양이 검사 기준치보다 적은 경우, 코안 속 너무 얕게 채취해 검체가 검사하기 적절치 않은 경우, 검체가 오염된 경우에도 재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