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경제가 안 좋아서 공공요금이 다 오르는 건가요?

전기세 가스비 같은게 다 오른다고들은 거 같은데 우리나라 경제가 요즘 너무 안 좋은 거 같은데요 보통 경제가 안 좋으면 이런 공공요금이 다 오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
      김옥연 경제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공공요금이 다 인상되고 있는 것은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고 이를 반영하기 시작하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기간 고금리 및 세계 곳곳 지정학적 불안등으로 국제 경제가 나빠지고 비용이 상승해 수익성개선을 위해 공공요금등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경제가 안 좋다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이냐, 디플레이션이냐에 따라 공공요금이 오를 수도 있고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돈의 가치가 폭락한다면 공공요금 역시 오르겠지만.

      반대로 지독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모두들 물건을 사길 꺼려한다면, 공공요금 역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요금이 오르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원가 상승, 시설 유지보수 비용 증가, 정부 정책 변화 등이 공공요금 인상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안좋다기보다는 아무래도 이러한 공기업들의

      적자폭이 너무나 커지면서 이에 따라서 공공요금을 올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안좋아서 오른다기 보다는 국제적으로 유가나 천연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가격도 동반상승한게 맞는거 같습니당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경제가 안 좋아서 공공요금 인상이 있나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공요금 인상은 원유값이 상승하는 등의 외부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기름 값이 오르고 물가가 상승하는 시절이 또한 경기가 좋지 못한 시절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안좋아서 공공요금이 오르는것은 아닙니다.

      전반적인 물가가 많이 오른상태입니다.

      유럽권 국가들은 가스비가 2배가 올랐네 이런 이야기가 작년부터도 나왔는데 우리나라는 거의 오른게 없습니다.

      그래서 가스공사, 한전 등 공공기관들 적자가 수십조에 달한다는 말이 나왔죠.

      그러면 왜 갑자기 요즘 오른다는 말이 많냐??

      이것은 비공식적이면서 많이들 인정하는 것인데, 선거가 끝났기 때문입니다.

      선거 전에는 최대한 물가상승을 억누릅니다. 그런데 선거가 끝나면 더이상 억누르기 힘들기때문에 하나씩 조금씩 올리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안좋다기 보다는 코로나 이후로 계속해서 시중에 통화공급량이 증가하다보니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공공요금 또한 오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설] 최악의 56조 세수펑크,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라

      한겨레

      https://www.hani.co.kr · 2024. 1. 31.

      법인세 인하, 유류세 인하 연장, 종합부동산세 완화 등 각종 감세 정책도 세수 결손을 키웠다. 정부는 또 세수 결손을 추가 국채 발행 등으로 메우지 않고 ...

      세수가 펑크난 상황에서 공공기업의 적자를 가지고 시민들에게 다 내라는 겁니다

      부자들 세금을 깍아준 금액만큼이요

      정치 외교 경제 그냥 내눴어도 이리되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