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알티스
알티스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건 현재 어려운기술인가요?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건 현재 어려운기술인가요?

그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대 영역들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현재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기술은 여전히 도전적인 분야입니다. 테라헤르츠 주파수는 밀리미터파와 적외선 사이에 위치하며, 높은 대역폭과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대역의 특성상 신호 감쇠가 심하고, 회로 설계와 소재 개발에 복잡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주로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의 라디오 주파수 및 마이크로파 대역으로, 통신을 위해 5G에서는 3.5GHz, 6GHz, 그리고 28GHz 대역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것은 현재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주로 발생기 및 감지기 기술의 한계, 신호의 감쇠 문제 등이 주요 과제입니다. 이 대역은 의료 영상, 보안 스캐닝 등에서 잠재력을 인정받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는 RF 대역의 3kHz부터 몇 GHz까지의 라디오 주파수, 30GHz에서 300GHz까지의 밀리미터파 등이 있습니다. 이동통신에서는 주로 700MHz에서 3G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5G의 경우 24GHz 이상의 높은 대역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기술은 현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여러 도전 과제가 있는 분야입니다. THz 대역은 대략 0.1 THz에서 10 THz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며, 이는 100 GHz에서 10 THz까지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합니다. 이 대역은 매우 높은 주파수와 짧은 파장을 가지며, 여러 응용 분야에서 유망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Hz 주파수를 생성하고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복잡하고 비쌀 수 있습니다. THz 파동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고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 상용화 단계로 완전히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해 기술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는

    VHF (Very High Frequency): 30 MHz에서 300 MHz까지의 주파수 대역으로, FM 라디오와 TV 방송 등에 사용됩니다.

    UHF (Ultra High Frequency): 300 MHz에서 3 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으로, TV 방송, 모바일 통신, Wi-Fi 등에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테라헤르츠(THz) 대역, 즉 0.1~10 테라헤르츠(THz) 주파수 범위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과 마이크로파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 대역은 많은 잠재적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기술적으로 여러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어려운 점을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테라헤르츠 주파수를 생성하고 검출하는 기술이 아직 충분히 발전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이 대역에서의 고효율 신호 생성, 증폭, 그리고 감지가 매우 어렵습니다.

    • 테라헤르츠 파장은 전자공학과 광학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전통적인 RF(라디오 주파수) 기술이나 광학 기술로는 이 주파수 대역을 쉽게 다룰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 테라헤르츠 파장은 공기 중에서 쉽게 흡수되고 감쇠됩니다. 이로 인해 장거리 전송이 매우 어렵고, 신호가 빨리 약해져서 실용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제한이 있습니다.

    •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작동하는 장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소재와 반도체 기술이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특히,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고성능 소자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현재 상용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1. 저주파 대역(LF/MF/HF)

      • 저주파 (Low Frequency, LF): 30~300 kHz

      • 중파 (Medium Frequency, MF): 300 kHz~3 MHz (라디오 방송)

      • 단파 (High Frequency, HF): 3~30 MHz (단파 통신)

    1. 초고주파 대역(VHF/UHF)

      • 초단파 (Very High Frequency, VHF): 30~300 MHz (FM 라디오, TV 방송)

      • 극초단파 (Ultra High Frequency, UHF): 300 MHz~3 GHz (디지털 TV, 모바일 통신)

    1. 극고주파 대력(SHF/EHF)

      • 극고주파 (Super High Frequency, SHF): 3~30 GHz (Wi-Fi, 레이더, 위성 통신)

      • 초극고주파 (Extremely High Frequency, EHF): 30~300 GHz (차세대 통신, 일부 밀리미터파 응용)

    1. 밀리미터파 대역

      • 30~300 GHz 대역의 밀리미터파는 최근 5G 통신 등에서 사용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이 대역은 매우 높은 주파수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거리와 장애물에 민감합니다.

    결론적으로 테라헤르츠(THz) 대역은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현재로서는 상용화가 어렵고 제한적입니다. 이는 신호 생성, 검출 기술의 부족, 신호 감쇠 문제, 그리고 고성능 소재의 필요성 때문입니다. 반면, 현재 사용 중인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에서 극고주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SHF와 EHF 대역은 5G와 같은 차세대 통신 기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술로는 테라헤르츠를 제대로 사용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단위가 너무 커소 자주 튀고, 받쳐줄 반도체나 기기도 없는 편이라고 하네요.

    일반적으로 주변에서 쓰는 주파수의 종류는

    저주파,중파,단파,초단파,밀리미터파 등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MHz나 KHz이죠.

    그 이상의 THz는 노이즈나 수송신과정에서 데이터 손실률이 높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테라라고 하는 것은 킬로, 메가, 기가, 테라의 순으로 10^12의 개념입니다.

    그리고 주파수라고 하는 것은 단위시간의 왕복운동횟수라고 보면 되는데, 아직 테라헤라츠가 상용화 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테라헤르츠 대역주파수는 결국 사용을 위해서는 주파수를 생성하고 검출해야 사용이 가능한데 이런 기술이 쉽지 않고 또한 비용도 많이 들기때문에 사용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테라헤르츠 주파수가  사용주차수에서 잡음이 많아서 사용하기도 어려워서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는 주차권 대역별로 사용이 용도가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차권 대역은 3Hz ~3THz까지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저,중,고 주파수,초고주파수 등등 다양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테라헤르츠(T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것은 현재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분야입니다. THz 대역은 약 0.1~10 THz의 주파수를 포함하며 이 영역에서는 전자기파의 특성상 전파의 감쇠가 크고 효과적인 신호 생성과 검출이 어려워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비파괴 검사 의료 이미지 처리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현재 상용화된 주파수 대역으로는 RF(라디오 주파수) 대역(3 kHz ~ 300 GHz)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Wi-Fi 블루투스 등은 2.4 GHz와 5 GHz 대역을 이동통신은 800 MHz부터 3.5 GHz까지의 대역을 사용하며 최근 5G는 24 GHz 이상의 밀리미터파 대역까지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