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폐지줍는 고블린
폐지줍는 고블린

맨 땅에서 수증기로 물을 만들수가 있나요?

영화를 보다 생각났는데 어떤 물체를 소량 태우면서

그 연기를 이용해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데

비닐을 씌우고 물방울이 생기면 그걸모아서

물을 만들더라구요. 이게 과학적 원리로 가능한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맨땅에서 물을 만들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가 있는 곳이라면 해당 산소를 가두어 말씀하신대로 물을 생성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 때 만들어지는 물은 굉장히 소량일 것이며 만드는대도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영화를 보시다가 생각이 드셨군요. 영화에서는 물을 만드는 과정으로 물체를 소량 태우면서 연기를 발생시키고 그 연기를 이용해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 같아요. 그리고 비닐을 씌우고 물방울이 생기면 그걸 모아서 물을 만들었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제가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에요.

      그리고 맨 땅에서 물을 만들어서 맨 땅에서 수증기로 물을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하신 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맨 땅에서 물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물은 수소와 산소 원자가 결합해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물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맨 땅에서는 그런 에너지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증기를 이용해서 물을 만드는 것은 가능합니다. 수증기는 물이 증발해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상태인데 이것을 냉각시키면 다시 물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수증기를 이용해서 물을 만드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에너지를 얻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태양열이나 지열 등을 이용해서 수증기를 만들고 그것을 냉각시켜서 물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맨 땅에서 수증기로 물을 만들 수는 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에너지를 얻는 방법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발 잠열'을 이용한 물 생산 기술로, 과학적으로 가능한 현상입니다.

      • 증발 잠열: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증발할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물 생산 기술: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물을 생산하는 기술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1.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킵니다.
      2.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킵니다.
      3.증발한 수증기가 비닐에 닿으면, 수증기가 액화되면서 물방울이 됩니다.
      4.물방울을 모아서 물을 생산합니다.

      이 기술은 사막이나 극지방 등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물을 생산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기술입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 보호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기술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연료의 선택과 연소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생산된 물의 양과 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방수포나 비닐등으로 증발되어 올라가는 것을 막아 한방울씩 수분을 모아서 물을 만들수가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원리로 만들어 지는 것이 증류주입니다. 물론 증류주는 알콜을 날리지만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체를 태우면 열이 발생되고 그 열로 인해서 공기중에 수증기가 열을 받아서 부피가 커지고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그 수증기를 비닐로 씌우거 그 비닐의 온도가 하강하면 수증기가 액화 되면서 즉 100도 이하가 되면서 물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는 수분이 있습니다. 습도라고 표현합니다.

      이 공기중에 있는 수분은 눈에는 안보이지만 존재하며 이 수분을 모으는 것을 보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일정온도가 되면 수증기로 변해 공중으로 날아가는데 이수증기가 다시 식게되면 물이되기 때문에 한곳에 수증기를 모으면 물을 모을수가 있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맨땅에서 수증기를


      이용하여


      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태양 증류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맨땅에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플라스틱 시트나 천을 깔아 그릇을 올려놓습니다.

      구덩이 위에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를 덮고, 시트 중앙에 돌멩이를 올려 텐트 모양으로 만듭니다.



      태양 에너지가 땅을 데워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수증기는 플라스틱 시트에 응결되어 물방울이 됩니다.

      물방울은 그릇에 모여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식물 증발은 식물의 증산 작용을 이용하여 수증기를 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맨땅에 식물을 심고, 식물이 자라는 동안 물을 충분히 공급합니다.



      식물은 잎을 통해 수증기를 방출하고, 이 수증기는 주변 공기에서 응결되어 물방울이 됩니다.

      물방울은 그릇이나 용기에 모아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밤에는 기온이 낮아지므로, 맨땅에 깔린 천이나 플라스틱 시트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물방울을 모아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안개가 많은 지역에서는 안개 수집기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안개 수집기는 안개에 포함된 물방울을 가로채 모아 물을 얻는 장치입니다.


      맨땅에서 수증기를 이용하여 물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효율은 크지 않습니다.



      이 방법들은 생존 상황에서 극단적으로 물이 부족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맨땅에서 물을 얻는 다른 방법으로는 우물을 파거나, 강이나 호수에서 물을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을 찾는 방법은 지역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생존 상황에서는 물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제를 가열하여 그 연기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증발과정입니다. 기본적인 물리학 원리에 따라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