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보랏빛사
보랏빛사24.04.01

광견병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어 물어봅니다.

나이
28
성별
남성

예를 들어 강아지가 광견병이 있는 야생 너구리한테 물리면 짧은 기간 동안은 광견병 보균자일 수는 있어도 증상이 발현되진 않잖아요.

광견병 증상이 발현 되지 않는 그 상태에서 개한테 물리면 광견병이 옮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광견병은 병원체가 신경계를 통해 이동하여 뇌에 도달하면 증상이 발현됩니다. 잠복기는 보통 1-3개월이지만, 개체에 따라 수일에서 수년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라도 증상이 발현되기 전 잠복기에는 타액 내 바이러스 농도가 낮아 감염력이 없거나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잠복기의 감염 동물에게 물렸다고 해서 광견병이 전파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광견병은 치명적인 인수공통 전염병이므로, 의심되는 동물에 물린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광견병이 의심되는 동물에 노출된 경우, 증상 발현 여부와 관계없이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네 가능합니다. 그래서 강아지에게 물리게 되면 해당 강아지를 10일정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그 기간 안에 광견병의 잠복기가 끝나고 증상이 발현되기 때문이며, 증상이 나타난다면 물린 환자는 광견병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